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대회자료
저자정보
정현석 (홍익대학교) 윤동식 (홍익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2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발행연도
2020.11
수록면
190 - 194 (5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3)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Currently, the number of infants and toddlers is gradually decreasing in Korea due to population decline and aging, and accordingly, kindergarten facilities are integrated with elementary schools to transform into an annex kindergarten. These annex kindergarten facilities are built and operated in a form linked to elementary schools, and are used as a space focused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means that there is little space that can be used for infants and toddlers, and it can be seen that the space given to infants is insufficient. Along with this trend, the importance of the current kindergarten curriculum and educational environment has emerged, and education revisions responding to these trends. And various educational methods are being studied.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Korean kindergarten education environment and to derive the spatial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a low-rise, short-storied kindergarten based on the reviewed contents. This aims to examin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s low-rise, short-stayed kindergarten architectural space suitable for the future.

목차

Abstract
1. 서론
2. 유치원에 관한 이론적 고찰
3. 유치원 공간 계획에 관한 이론적 고찰
4. 사례분석
5.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