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I. 들어가는 말
II. 해방신학과 해방철학의 탄생
III. 해방신학의 주요 개념들
IV. 해방철학의 주요 개념들
V. 나오는 말: 평가와 의의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해방 70년, 한국의 미래를 묻는다
한반도선진화재단 기타 단행본
2015 .10
라틴아메리카의 탈식민적 전회(De-colonial Turn)와 트랜스모더니티(Trans-modernity): 유럽의 비판이론과 해방철학을 중심으로
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
2016 .05
여성해방론의 쟁점들
노동사회과학
2021 .05
동아시아에서 인간의 해방, 민족의 해방-참된 보편주의를 향하여
인권연구
2018 .12
흑인 해방은 어떻게 가능한가 ─ 미국 흑인 해방 운동을 중심으로
마르크스21
2020 .08
러시아 혁명과 여성해방
마르크스21
2017 .03
‘페미니즘이 아닌’ 여성해방으로 가는 길 : 『페미니즘인가 여성해방인가 사회주의에서 답을 찾다』를 읽고
현장과광장
2022 .05
(인물로 읽는) 현대한국정치사상의 흐름: 해방 이후부터 1980년대까지
[KIIP] 한국지식재산연구원 도서DB
2019 .12
노동해방, 인간해방을 향한 멈출 수 없는 싸움터에서 우리는 기필코 혁명을 잉태할 것입니다.
현장과광장
2020 .05
해방공간 대구 지역에서 사용된 중등 음악교과서 『音樂敎本』(大建初級中學校)과 『中等 音樂敎科書』(大邱公立商業中學校)에 대한 비교 고찰
음악교육연구
2020 .01
‘해방적 관계로서의 돌봄’을 발명하는 교육운동이 필요하다
오늘의 교육
2024 .09
북한 여성과 사회변혁(1) : 해방 이후부터 1980년대 말까지
마르크스21
2018 .10
[서평] 노동해방·인간해방 : “각자는 그 능력에 따라서 노동하고, 각자에게는 그 필요에 따라서 주어진다”
노동사회과학
2019 .11
우리는 해방적 파국에 준비되어 있는가?
문화와 사회
2015 .11
시장화개혁 초기의 중국여성— ‘돌봄’과 ‘부녀’해방담론
중국학보
2024 .02
모두를 위한 해방을! - 연결된 우리, 공동행동 모색하기
일터
2023 .04
지도 없는 해방적 탐험을 용감하고 창의적으로 해내기 위해
의료와사회
2023 .11
해방기에 씌어진 두 편의 박목월 시
근대서지
2015 .06
총파업은 우리를 해방으로 이끈다
노동사회과학
2015 .06
해방적 기본소득과 탈자본주의 이행
월간 좌파
2016 .07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