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서론
Ⅱ. 1세대 한국계 미국인 작가로서 김용익이 가지는 특이성
Ⅲ. 본향 통영에 대한 노스탤
Ⅳ. 「밤배」와 「밀수선」
Ⅴ. 결론
Works Cited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시조집 한 병, 잘 마시기 위한 법칙 - 백이운, 『달에도 시인이 살겠지』(책만드는집, 2019)/최영효, 『컵밥 3000 오디세이아』(작가, 2018)
시조시학
2019 .06
[작가의 방] 세 개의 방
계간 미스터리
2021 .09
확장, 변주하는 미주작가의 글쓰기 - 박인애 외 7인,《작가라는 이름으로》(작가, 2024)
수필미학
2025 .03
나는 작가다
수필미학
2020 .06
[작가론] 그것이 바로 나였다니……
자음과모음
2015 .12
[작가론] 살아 있는 것은 다 아름답다
푸른사상
2024 .09
[작가론] 푸른 방에서 길어 올린 풍경과 언어들
수필미학
2019 .12
[작가의 방] 작가라서 더 좋은 독자가 될 수 있었다
계간 미스터리
2020 .08
A Case Study of a Korean-English Emergent Bilingual Child in a Korean Ethnic Community School in the U.S.
이중언어학
2017 .01
새의 언어 외 1편
시조시학
2023 .09
언어의 저편
수필미학
2020 .12
활의 언어 외 1편
문학들
2015 .11
나는 여성 작가입니다
창비어린이
2017 .06
歌·舞·樂·戱 연행공동체 남해안별신굿 고찰 ― 통영피리와 진춤을 중심으로 ―
건지인문학
2020 .01
한국어-중국어 이중언어 교육 현황 및 방안 : 국내 중국인 결혼이민자 자녀 대상을 중심으로
중국어문논역총간
2015 .07
김춘수 시와 통영의 로컬리티 - 장소, 인물, 언어를 중심으로
한국시학연구
2022 .08
한-중 이중언어 화자로서 조선족의 언어 정체성 구성 요인 탐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019 .01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화자의 사용 언어, 문맥, 언어 능숙도에 따른 기본 주파수 변화
말소리와 음성과학
2019 .03
좋은 독자, 좋은 작가
월간에세이
2019 .08
[작가를 말한다] 유쾌한 기억들
수필미학
2019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