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권윤정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정신과학교실) 정조은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정신과학교실) 허휴정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정신과학교실) 조현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중독연구실) 김대진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정신과학교실)
저널정보
대한생물정신의학회 생물정신의학 생물정신의학 제22권 제3호
발행연도
2015.1
수록면
128 - 134 (7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Objective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and body mass index (BMI) of obese children.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included 387 children. HRQoL was measured with the PedsQLTM 4.0 Generic Core Scale. BMI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Asia-Pacific obesity guidelines. Psychosocial factors (body image, self-esteem, and depression/anxiety) were also measured. Data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alysis of variance, Pearson's correlation and Path analysis. Results Obese participants reported lower score for physical evaluation, self-esteem, appearance evaluation component of body image, total HRQoL score, and physical/emotional/social function components of HRQoL ; they reported higher score for depression/anxiety. In addition, results indicated that as BMI increased, appearance evaluation, total HRQoL score, and social function component of HRQoL dropped. Path analysis revealed that BMI did not directly affect HRQoL ; however, BMI directly affects body image and self-esteem, indirectly mediates depression/anxiety, and thereby impacts on an individual's HRQoL. Conclusions Body image and self-esteem, rather than BMI itself, have more influence on HRQoL. This reinforces the importance of therapeutic intervention to enhance body image and self-esteem among obese children.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43)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