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최전하 (중앙보훈병원 이비인후과) 김춘동 (중앙보훈병원 이비인후과) 김윤정 (중앙보훈병원 병리과) 김승우 (중앙보훈병원 이비인후과)
저널정보
대한두경부종양학회 대한 두경부 종양 학술지 대한 두경부 종양 학술지 제31권 제1호
발행연도
2015.1
수록면
31 - 33 (3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extranodal non-Hodgkin lymphoma is uncommonly occurred in larynx, accounting for less than 1% of all laryngeal neoplasm. In general, the laryngeal lymphoma is appeared as submucosal mass without mucosal ulceration and is most commonly found in supraglottis. The primary laryngeal lymphoma constitute a diagnostic challenge because they are characterized by absence of clinical and gross differential criteria, compared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SCC). We encountered a 74-year-old man with hoarseness and lump sensation in the throat. On direct laryngoscope, multiple ulcerative and exudative mass in glottis and supraglottic areas were observed. The patient was finally diagnosed as large B-cell lymphoma through the laryngeal microsurgery. He received radiation therapy and there is no evidence of recurrence. Although the laryngeal mass has superficial mucosal change, primary laryngeal lymphoma must be included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