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한국문예비평연구 한국문예비평연구 제65호
발행연도
2020.1
수록면
207 - 237 (31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작가 방정환의 아동관과 문학관은 ‘계급주의 아동문학’과 대립했던 ‘동심천사주의’로 알려져 온 기존의 아동관을 동학(東學)의 인내천 사상과 일본의 동심주의 사상의 접목으로 볼 수 있다. 이것은 방정환의 문학 사상의 핵심을 낭만적 지향만으로 논의할 수 없는 강한 현실주의적 성향을 드러내는 과정과 맞물린다. 이 부분에서 방정환의 민중문학관과 카프의 계급문학과의 변별점을 중요하게 살피고자 한다. 천도교 사회운동과 개혁사상은 방정환의 모든 활동을 뒷받침하는 기본 바탕이므로, 이는 방정환의 문학관과 아동관을 살피고자 할 때 가장 염두에 두어야 할 사항이다. 한국 근대아동문학의 새로운 기폭제가 되었던 한국 최초의 어린이 잡지『어린이』역시 이와 연속선상에 있음은 물론이다. 방정환의 아동문학은 번역, 옛이야기 재화(再話), 창작 등 장르별로 고찰 가능하다. ‘문화운동가’ ‘소년운동가’라는 명성에 가려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졌던, ‘아동문학가’로서의 방정환의 다방면의 활동과 성과는 재론되어야 한다. 따라서 ‘우리 입맛에 맞게 우리 정서에 맞게’ 외국의 동화를 소개한 것으로 평가되어 온 번역・번안동화집 󰡔사랑의 선물󰡕의 작품을 원작과 중역본 텍스트, 방정환의 번역본을 비교 고찰하여 민족주의 서사가 강화되었음을 규명했다. 방정환의 번역과 번안은 우화와 옛이야기 재화, 그리고 미담・실화류가 주류였던 당시 풍토에서 한국 근대 ‘동화’의 상을 재구성하는 데에 기여했다. 전래동화와 동화극도 근대 아동문학의 주요 장르로 이 시기 방정환에 의해 개척되었는데, 동시대와 후대의 재화와 비교하여 방정환 문학의 독자성과 우수성이 드러난다. 창작 부분에서는 방정환이 명확한 장르 의식을 기반으로 ‘동화’와 ‘소년소설(아동소설)’을 개척하였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