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한국언어과학회 언어과학 언어과학 제27권 제1호
발행연도
2020.1
수록면
203 - 226 (2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paper aims to address two significant concepts, Prototypicality and Markedness, in the studies of the categorization of the English passive system, and holds that there always exists vagueness at the category boundary and that the category is gradient. It proposes that the category passive, starting from the prototype of the unmarked form of the agentful true passive, extends in a chained way of concatenation to the less peripheral and less marked form of the get-passive. The category is then said to expand in the way of radiation to more peripheral, untypical and marked forms of the causative passive and to the [Be+V-able] construction and finally spreads to the most peripheral and marked form of the [V1+V2-ing] construction. It is also suggested that great importance should be attached to prototypical and unmarked cases of passives, and at the same time, peripheral and marked passives should not be neglected. Only by doing so can we understand the passive system in English comprehensively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25)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