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임정미 (중앙대학교) 이종훈 (대덕대학교)
저널정보
한국복식학회 복식 복식 제70권 제3호(통권 제226호)
발행연도
2020.6
수록면
132 - 147 (16page)
DOI
10.7233/jksc.2020.70.3.133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Historical dramas set in Korea have developed into K-content that the world is paying attention to. Historical dramas have a dichotomous structure, combining history and drama; but recently, they have been reborn as a form of complex media content called convergence historical drama. In this study, historical dramas are recognized as content that is set against the backdrop of history and intended to faithfully reproduce the clothing of the time. Historical drama costume design has evolved from a modified form of traditional costumes, to serve as an important visual medium for conveying information about the character, situation, etc. This paper uses Jay David Bolter and Richard Grusin’ remediation, theory of visual media to create a framework of creativity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costume design in the Korean historical film 『The Fatal Encounter』. The design framework was presented in the form of representation, Absorption, refashion, Extension, which are remediation. It hope that this will help in the field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s research for K content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재매개화 개념 및 특징
Ⅲ. 사극 영화 〈역린(逆鱗)〉의 의상 디자인 과정
Ⅳ. 사극 영화 역린 의상 디자인 과정의 재매개 방식
Ⅴ.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27)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381-000896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