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기존 해석 검토
2. 정형구의 검토
3. 접객 모티프와 두터운 정의
4. 이슬의 비유와 시적 화자의 태도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金鳌新话≫引≪诗经≫研究
중국어문논총
2015 .04
조선시대 17세기 『시경』 읽기의 다각화 양상 고찰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2019 .01
순암 안정복의 『시경』 인식 고찰
한국실학연구
2020 .01
『詩經』에 나타난 ‘새’ 이미지의 상징성- 애정시를 중심으로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2020 .01
韓國 詩話에서의 <詩經>의 受容과 運用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2018 .01
茶山・舫山 詩經說이 지닌 복고적 성격과 그 경학사적 의미-「周南」과 「召南」을 중심으로-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2019 .01
方玉潤 詩經原始 연구 ― ‘淫詩’ 혐의가 제기된 시들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중국어문학지
2023 .03
다중(多重) 콘텍스트로 읽는 『시경』 -계덕해의 『시경』 읽기를 중심으로-
한국사상사학
2020 .01
한국 한문학에서의 『시경』 표현 운용 양상에 대한 유형적 접근 : 관련 연구의 종합 및 확장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문학과 예술
2016 .07
≪시경(詩經)≫의 도상화(圖像化) ― 경서(經書)ㆍ그림ㆍ문자
중국학
2015 .01
다산 시경학 연구를 위한 예비적 검토 : 정조조(正祖朝) 시경강의(詩經講義) 관련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문학과 예술
2016 .11
《詩經》 자연 경물 모티프의 은유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8 .04
晚明萬時華≪詩經偶箋≫的文學詮釋
동아인문학
2019 .06
말에는 없고 이미지에만 있는 것 : 언어화되지 않는 이미지에 대한 이론들
한국시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6 .10
陽村 權近의 문학과 『詩經』
동방한문학
2018 .01
『詩經』 風論 再考 -樣式과 詩體의 분리를 통한 이해-
동양한문학연구
2023 .02
中庸 미학에서 生生 미학으로―시경 을 중심으로 ―
동양철학연구
2022 .05
「中庸」 에 인용된 詩經 시에 대한 연구
대동철학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