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숨는 아이
2. 헌병경찰이 지휘한 방역
3. 대안을 찾는 한국인
4. 사회에 대한 이해
5. 자율을 넘어선 협조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 사회의 전염병 관련 표현에 대한 언어문화 연구: 사전을 중심으로
사회언어학
2022 .12
2000년대 글로벌 전염병 거버넌스의 변화 : 글로벌 보건 안보의 대두와 국내 전염병 관리 체계의 변화
의사학
2016 .12
메이지 일본의 콜레라 유행 통제와 피병원(避病院)의 제도화
이화사학연구
2023 .06
魏晉南北朝 시대 환경사에 관한 예비적 고찰 : ‘黃霧’와 疫病, 국가 水利 사업을 중심으로
중국고중세사연구
2018 .11
한국인의 주요 전염병과 그 명칭에 대한 통시적 고찰 - ‘장티푸스, 말라리아, 한센병’ 등을 중심으로
어문론집
2020 .12
한국 근현대소설 속 질병 연구 쟁점과 흐름 (1)
한국언어문학
2016 .01
[종설] 한국 근대 시기 대상 의사학 연구의 지형: 신체·위생·방역·병·의(醫)·한의·약 전반을 대상으로
한국과학사학회지
2023 .04
생성어휘부 이론의 유형강제 현상 연구에 대한 재고와 우선순위 당연논리 기반의 새로운 접근
언어와 정보
2017 .07
질병과 그리스도교 – 질병의 종교적 의미에 대한 연구 –
신학연구
2021 .12
조선시대의 왕실 언간에 나타난 질병 고찰
동양고전연구
2022 .12
고대 서아시아의 팬데믹 -제1차 세계화 시대의 이집트 문명을 중심으로-
서양사론
2022 .03
Coercion and Conceptual Blending : A Case Study of English and Korean
언어과학연구
2018 .09
〈장석전〉에 나타난 전염병과 활인(活人)의 의미
어문학
2023 .03
문학 텍스트를 통한 한·중 문화 비교연구 가능성에 대한 고찰 -근대 시기의 감염문화사를 중심으로-
한중인문학연구
2021 .12
전염병 시대 공중보건을 위한 과학과 법의 의미
비교한국학
2022 .08
한국 전염병 감시체계의 흐름에 관한 연구 -1950년대부터 현재까지-
인문학연구
2019 .01
언어변화와 한국어의 강제현상 : 수여구문을 중심으로
담화와인지
2019 .05
세계화 시대, 신종감염병의 습격과 대응 -메르스를 중심으로-
이화사학연구
2022 .06
제국 일본의 인플루엔자 대응과 방역정책 - 식민지 조선의 사례를 중심으로
역사학보
2021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