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한ㆍ일 동물지음 설화의 삽화구성 양상
Ⅲ. 한ㆍ일 동물지음설화의 특징과 의미
Ⅳ. 맺음말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난생설화 외 1편
문학들
2017 .08
대립 구조를 활용한 설화 교육의 내용 연구 - <구렁덩덩 신선비>를 중심으로 -
문학교육학
2018 .01
삽화 외 1편
문학들
2023 .02
삽화 5 외 1편
문학들
2018 .08
아시아 열두 띠 설화의 동물 표상을 활용한 상호문화 감수성 신장의 문화교육-이주민 구술설화 자료를 중심으로-
구비문학연구
2021 .01
한·중 <새털옷신랑> 설화 비교
구비문학연구
2024 .09
북한의 설화자료집 『조선민화집』의 수록 양상과 통일시대의 설화자료 통합방안 모색
동방학지
2016 .01
한국설화를 통한 외국인과의 소통과 치유 가능성 연구 -뉴질랜드 현지인을 대상으로-
문학치료연구
2021 .01
전북지역 구비설화의 문화지형도
실천민속학연구
2015 .08
구술성과 설화 교육의 새로운 방향 - 중고교 설화교육을 중심으로
구비문학연구
2020 .01
미와 다마키『전설의 조선』의 일본 관련 설화에 대한 고찰
외국문학연구
2015 .02
‘부자 되기’ 설화의 사회적 가치- ‘장구혈 설화’와 ‘가짜 업 설화’를 중심으로
구비문학연구
2020 .01
대안 이야기 탐색을 위한 서사 결합에 대한 연구 -<여우구슬> 설화를 중심으로-
문학치료연구
2017 .07
시베리아 에벤족 설화에 나타난 새들의 신화적 형상
슬라브硏究
2019 .01
설화를 통한 치매 환자의 자기서사 표현 가능성
문학치료연구
2018 .01
일본과 한국 설화를 활용한 한국 문화 교육 연구
한국민족문화
2023 .11
한국 <곰나루>설화와 오키나와 <곰 아내(熊女房)> 설화의 비교연구
백제문화
2024 .02
한‧중 열불열설화(烈不烈說話) 비교 연구
포은학연구
2019 .01
설화 아카이브의 현황 분석과 활용 방안
구비문학연구
2019 .01
〈짐승 말 알아듣는 며느리〉 설화의 공동체 의식과 공생의 방식
인간·환경·미래
2023 .1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