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민중미술 목숨 살이
민중미술, 출렁 일렁 꿈틀
치유된 치유자
메타-민중미술
민중미술의 새 밭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1970년대 민중시의 주체 구성 : 민중시를 지탱하는 몇 가지 분할에 대하여
한국시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7 .11
‘우리’는 민중신학에 무엇을 ‘기대’하는 것일까요
제3시대
2018 .11
미술 시간 외
자음과모음
2022 .12
현장과 육체 - 『창작과비평』의 민중지향성 분석
현대문학의 연구
2015 .06
「1970년대 민중시의 주체 구성」에 대한 토론문
한국시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7 .11
한국 민중론과 민중 신학 -강인철의 ‘민중 개념사’ 연구를 매개로 한 몇 가지 토론-
종교연구
2024 .10
사회적 고통의 관점에서 민중을 이해한다는 것
제3시대
2018 .12
1980년대 민중미술과 임옥상 작가의사회적 수용에 대한 Q연구
주관성 연구
2017 .01
신학은 민중과 고통을 어떻게 읽는가 : 『민중신학, 고통의 시대를 읽다』
제3시대
2018 .12
동학소설에 나타난 혁명 주체로서의 민중
현대문학이론연구
2019 .01
『민중신학, 고통의 시대를 읽다』를 말하다
제3시대
2018 .11
‘비-동일성’의 민중을 기입하는 글쓰기— 박태순의 르포와 기행문을 중심으로 —
현대문학이론연구
2019 .01
국민도 민중도 아닌 ‘시민’들의 투쟁
황해문화
2025 .03
민중신학의 이야기신학 이론과 이웃사랑 : 한나 아렌트의 이야기이론에 견주어 살펴보는 민중신학의 이야기신학 이론
한국조직신학논총
2019 .01
오월광주는 민중미술에서 어떻게 표현이 되었나? : 광주의 작가들이 전하는 것
황해문화
2020 .03
1970~80년대 민중의 외연과 내연 : 『뿌리깊은나무』의 외톨박이 시리즈와 『민중 자서전』 시리즈를 중심으로
동악어문학
2023 .06
김지하의 문학과 민중성의 변이 양상 고찰
비평문학
2017 .12
‘87년 체제’의 청산과 민중정치- 민중신학적 관점에서 제20대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얻는 한 귀결 -
신학과 사회
2016 .01
민중신학에서의 민중 용어의 작용에 대한 연구
신학사상
2020 .01
[미술] 노동하고 창조하는 우주여자 : 김인순의 여성주의 미학과 민중의식
황해문화
2017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