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임동식 (홍익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언어학회 언어 언어 제44권 제4호
발행연도
2019.12
수록면
923 - 942 (20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paper, as an extension of Lim (2014), proposes a (simplified) formal model of situations in situation semantics, which is assumed to be required in the interpretation of Korean direct evidential -te-. With this formal model, this paper provides a basic ontological definition of situations, and argues that situations can be ‘lumped’ into a bigger situation when there is a causal relation between them, and when an intended cause situation will continue to the naturally expected result situation (which is called efficacy condition, following Copley and Harley 2015). Based on this model, this paper further argues that -te- can be felicitously used only when the speaker directly perceives part of the causal chain between situations, or the entire causal chain, and shows that this proposal can explain various examples which are problematic in previous analyses, including -te- with the past tense -ess- which introduces direct evidentiality, and -te- without any overt tense which introduces inferential evidentiality (contra Chung 2007, a.o.).

목차

1. 서론
2. ‘-더-’의 증거성에 대한 기존 형식의미론적 논의의 한계
3. 티베트어 증거성 형태소: Kalsang et al. (2013)을 중심으로
4. 상황과 상황의 융합에 대한 형식적 정의
5. 분석: 상황의 존재론에 근거한 ‘-더-’의 의미 분석
5. 결론 및 남은 문제들
참고문헌

참고문헌 (36)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