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머리말
Ⅱ. 정릉의 조성과 천장
Ⅲ. 광통교의 석교 건축과 현상변경
Ⅳ. 광통교의 구 정릉 석물 분석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19세기 조선왕실 능·원의 천봉(遷奉)과 석물의 제작
미술사학연구(구 고고미술)
2023 .09
顯德王后의 昭陵 석물
미술사학연구(구 고고미술)
2015 .03
조선시대 內喪在先 왕후릉과 석물제도 변화
미술사학연구(구 고고미술)
2022 .06
Tomb
한국기초조형학회 작품집
2024 .10
조선왕릉의 통합적 시각정보 디자인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5 .10
왕릉의 공간_봉릉을 둘러싼 석물 사대석일까? 병풍석일까?
매거진 키
2022 .11
왕릉의 공간_국장이 이루어지는 조선왕릉
매거진 키
2021 .04
조선왕실 무덤, 園의 창안과 전개
미술사논단
2015 .12
조선 왕릉과 종묘의 연구 성과와 향후 과제
미술사학
2017 .02
왕릉의 공간_왕과 왕후의 사후 궁궐
매거진 키
2021 .07
[왕릉의 공간] 회격, 조선왕릉의 특징을 만들다
매거진 키
2021 .12
寶山墓를 통해 본 遼代 초기 시각문화
미술사논단
2015 .12
[왕릉의 공간] 세종대왕이 만들어 낸 특별한 조선왕릉만의 지하 현궁 구조
매거진 키
2022 .07
왕릉의 공간_조선왕릉에 놓인 석상, 제상일까? 혼유석일까?
매거진 키
2022 .12
왕릉의 공간_조선왕릉, 석실 대신 회격으로 현궁을 만들다
매거진 키
2021 .10
베트남 阮朝(Nguyễn) 明命帝(r. 1820-1840)의 〈孝陵〉 연구
미술사학연구(구 고고미술)
2021 .03
[왕릉의 공간] 한날한시에 하나의 현궁으로, 회격합장릉
매거진 키
2022 .04
조선 후기~근대 마애묘(磨崖墓)의 제 형식과 몇 가지 특징
미술사와 문화유산
2023 .02
왕릉 무석인상 복식 규명을 위한 중국과 한국의 포두(包肚) 연구
아시아민족조형학보
2015 .12
레드 툼
한국독립영화협회 기타간행물
2015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