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민속식물 개념의 등장과 연구 동향
Ⅲ. 민속식물 연구에서 식물민속으로의 방향 전환
Ⅳ. 무형유산으로서 식물민속 연구의 확장
Ⅴ. 맺음말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20세기 초의 식물민속지식 : 『동의보감』 초부 수록 식물을 중심으로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20 .09
식물 신경생물학과 기독교 녹색 윤리
한국기독교신학논총
2019 .01
고전식물명 ‘檜’에 관한 고찰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2016 .01
한중 식물명의 단어 형성 - 동일 대상의 개념화를 중심으로 -
언어사실과 관점
2023 .02
지역의 민요를 넘어 세계의 민요로-민요에 대한 문화론적 접근 - 권오경, 『한국민요현장과 경계넘기』(민속원, 2018)
어문론총
2019 .01
백석의 시에 나타난 식물 이미지 연구
한국문예창작
2020 .01
사회적 연대의 소스 코드로서 민속의 변환과 생성 : 행동의 형태로 본 세시풍속과 촛불행동의 다중적 연관을 중심으로
한국민속학
2017 .11
반려식물 관련 신어 형성 배경과 낱말밭 구성 양상
우리말글
2024 .12
‘荷’와 ‘蓮’字가 속한 植物名稱의 상호 연관성 고찰
중국언어연구
2024 .04
현대중국어의 식물은유 사용과의사소통 효과에 대한 연구
중국어문학
2016 .01
식물 사진의 사회적 삶- 온라인 커뮤니티에서의 디지털 스냅 사진 사용과 의미
기호학 연구
2024 .08
현대 한국 사회의 동시대 민속음악 – 민속음악의 현대적 재생산과 그 변화의 구조 -
한국민속학
2023 .05
Plant Agency and the Domestication of Prehistoric Korea
인문논총
2017 .01
민속지식 생산의 변환과 확장 가능성
민속연구
2018 .08
한·중 식물명의 同義詞 고찰
중국언어연구
2023 .04
『懐風藻』の植物に関する考察 ─和歌集の植物調査に基づいて─
日本學硏究
2017 .01
영미권 민속아카이브 현황과 한국민속학에서 민속아카이브의 전망
비교민속학
2015 .12
강원지역 민속신앙의 흐름과 멈춤
강원민속학
2022 .09
『삼국유사』의 동물과 식물 ― 고대 한국인들의 불교적 자연관과 생명관을 중심으로 ―
한국불교사연구
2023 .06
인터넷 스타(網紅) 3.0 시대 중국 사이버 페미니즘 담론 ? Papi?의 경우를 중심으로
중국지식네트워크
2017 .0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