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누구를 위한 ‘세계없음’인가
2. 새로운 리얼리티: 세계없음의 ‘체험’
3. ‘세계성(worldhood)’의 바통을 이어받기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다시, 문학지
자음과모음
2019 .03
[문학] 문학이 해야 할 일
창비어린이
2015 .06
밤, 항구 그리고 울음 - 박현덕, 『밤 군산항』(문학들, 2020)
시조시학
2020 .06
지나치게 문학적인
번역하다
2022 .04
문학의 일, 문학은 일
자음과모음
2020 .03
다음 책도 문학이기를
번역하다
2022 .03
문학의 밤 외 1편
시조시학
2022 .12
세계문학론과 러시아 문학 : 세계문학론의 맹점/쟁점으로서의 러시아 문학
한국노어노문학회 학술대회 발표집
2018 .10
[문학] 불가능한 소설의 세계성, 소외되는 문학적 지역성
자음과모음
2018 .06
‘이론이후’의 세계문학 인식
외국문학연구
2018 .05
우리문학의 심층과 세계문학 지향론 : 이명재 교수의 새 평론집 『세계문학 넘어서기』 (문학세계사, 2018)를 읽고
한국문학과 예술
2018 .12
[문학] 문학과 국가 : 헬문학시대의 문학진흥법
황해문화
2016 .03
체계로서의 세계문학
코기토
2016 .02
세계문학과 번역의 위치
새한영어영문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2019 .10
1970년대 제3세계 시문학의 번역과 영향
반교어문연구
2019 .01
문학에 기대어 자기 이야기 쓰기 : 《우리의 문학 수업》을 읽고
함께 여는 국어교육
2023 .12
1970년대 제3세계적 시각과 세계문학론 : 김우창과『세계의 문학』을 중심으로
동악어문학
2015 .08
생태계로서의 문학 VS. 시스템으로서의 문학
문화과학
2015 .09
[문학] 2016년 문학의 과업
창비어린이
2016 .03
다시 만난 세계
한국여성신학
2024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