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고요하고 단호한 사랑을 해요
함께 여는 국어교육
2024 .12
고요의 인사
푸른사상
2022 .05
가을 물처럼 고요하다 외 1편
시조시학
2020 .12
[자선작] 나는 고요가 무섭다
시조시학
2022 .12
미학 : 서석조, 『별처럼 멀리 와서』(교음사, 2017) / 오종문, 『지상의 한 집에 들다』(이미지북, 2017) / 이명숙, 『썩을,』(고요아침, 2017)
시조시학
2017 .09
파도와 외등과 ‘흘러가는 생’ : 문순자, 『왼손도 손이다』(고요아침, 2016)
시조시학
2016 .08
달관과 깨달음, 그리고 자기 긍정의 시학 : 김영재, 『히말라야 짐꾼』(책만드는집, 2016)/최오균, 『시간의 잔고』(고요아침)/정황수, 『기리에를 위한 변주』(고요아침)/최성아, 『달콤한 역설』(고요아침)/김경은, 『겨울꽃 흐르는 강』(고요아침)
시조시학
2016 .12
절제와 비약, 혹은 시절가조時節歌調의 가능성 : 정희경, 『빛들의 저녁시간』(고요아침, 2016)
시조시학
2016 .12
휴머니즘적 기억의 재구성 ― 박성애, 『마음 첩첩 꽃비』(고요아침, 2019) / 송두영, 『물메 쉼표 같은』(고요아침, 2019) / 용창선, 『세한도를 읽다』(고요아침, 2019) / 고민송, 『구멍 난 양말』(고요아침, 2019)
시조시학
2020 .03
말은 스스로 말한다 : 구애영, 『호루라기 둥근 소리』(고요아침, 2017) 외
시조시학
2018 .03
곡진한 사랑과 헌신의 시편들 : 김월준, 『푸른 말 내딛다』(고요아침, 2016)
시조시학
2016 .06
저항의 격정激情을 품고 서정의 적요寂寥를 터전으로 삼다 : 홍진기, 『무늬』(고요아침, 2015)
시조시학
2015 .12
[작품론] 권태와 욕망의 위태로운 변주 - 인은주의 시집 『미안한 연애』(고요아침, 2018)를 중심으로
시조시학
2019 .12
[당선소감] 형극의 길, 초심初心의 열정으로
시조시학
2018 .09
[그 시간, 그 공간] 고요한 선물
월간에세이
2023 .08
포프의 코브험에게 부치는 서한시 연구
영어영문학연구
2021 .01
삶의 열정을 잃게 만드는 7가지 생각
인물과사상
2015 .09
[당선작] 고요한 함성
시조시학
2020 .03
밤과 낮의 고요한 물소리 외 1편
자음과모음
2019 .03
[신인상 시 부문 수상작] 고요한 세계 - 김경철을 기리며
문학들
2020 .0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