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지역의 민요를 넘어 세계의 민요로-민요에 대한 문화론적 접근 - 권오경, 『한국민요현장과 경계넘기』(민속원, 2018)
어문론총
2019 .01
통속의 정치와 민요
고전문학연구
2024 .06
명대 민가에 나타난 오감(五感)
중국어문논총
2019 .01
근대소설 삽입민요의 존재 양상 : 이기영, 강경애 소설을 중심으로
민속연구
2018 .02
구리 지역 민요의 전승 양상과 기능적 특징
민속연구
2015 .02
고정옥의 『조선민요연구』에 나타난 경향성 연구
한국민속학
2023 .11
『개벽』, 『별건곤』의 민요 수록 양상을 통해 본 차상찬의 문학관 및 민요의식
실천민속학연구
2023 .02
최상수 조사 부산지역 민요의 채록 정보 분석과 민요의 성격 고찰
항도부산
2021 .08
민요 소리판의 양상과 청중의 상관성 : 경기도 하남시 소리판을 중심으로
민속연구
2016 .02
南朝 民間樂府에 나타난 고대 중국 민간의 사랑 - 〈吳聲歌曲〉을 중심으로
중국문학
2020 .01
宋代 民間詞의 자리 찾기
중국문학
2022 .11
중국 후난 쌍즈민요(湖南桑植民歌) 고찰
문화와 예술연구
2021 .12
양악작곡가의 민요 다루기
한국학연구
2023 .09
송석하의 민속 및 민속학 개념의 전개양상
실천민속학연구
2017 .08
밀양 향토민요의 분포양상과 음악적 특징
한국문학과 예술
2021 .03
금수현의 노래 연구
로컬리티 인문학
2022 .10
북한판 『민요삼천리 2』의 구성체계와 내용에 관한 고찰
한민족문화연구
2018 .01
민요 연구의 확산과 수렴 - 최근 5년 동안의 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
구비문학연구
2016 .01
从《西洲曲》,《木兰诗》中修辞手法看南北朝民歌差異
중국학논총
2024 .06
한 · 중 · 일 단오민요 고찰
국제언어문학
2023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