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碧鷄漫志≫譯註(3)
중국어문학
2019 .01
≪碧鷄漫志≫譯註(4)
중국어문학
2019 .01
월암(月巖) 최일하(崔一河)의 삶과 의식세계 - 은둔관(隱遁觀)을 중심으로 -
한성어문학
2017 .08
『增補山林經濟』의 「卜居」에 대한 풍수적 考察
동양철학연구
2018 .01
한국 풍수학이 나아갈 방향과 지리학 : 21C, 학문 통섭의 시대에 맞추어
한국학논집
2016 .09
청대 대만 역사 속 '풍수'의 문화현상
역사민속학
2024 .12
동기감응론의 한계성에 따른 방향성 모색
한국사상과 문화
2015 .01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상택지(相宅志)」의 내용 중 풍수에 관한 연구
민족문화연구
2019 .01
다산 정약용의 풍수관 : 비판과 수용
한국민족문화
2017 .08
국내 풍수 연구의 검토 ― 최근 10년간의 이론적 토대 관련 연구 분석 ―
동양문화연구
2021 .11
오대산의 풍수지리학적 위상과 탄허의 화엄학적 풍수관
대각사상
2022 .06
『역』의 길흉에 대한 해석
동서철학연구
2018 .01
풍수 발복론의 역사적 전개와 한계성 비판
한국사상과 문화
2016 .01
자연지리와 풍수의 관점에서 본 경주 지역 지명
한국학연구
2019 .06
풍수의 원류 및 도선 풍수 연원의 재고찰
인문사회과학연구
2016 .01
항해용 콤파스에 관한 A.v.훔볼트 테제 비판
역사학연구
2017 .01
외암리 민속마을 양택의 풍수이기론적 접근
한국민족문화
2016 .08
원대(元代) 풍수문화 초탐
동방문화와 사상
2020 .01
한국 소수서원과 중국 백록동서원의 비교고찰 : 건립배경과 자연환경의 풍수적 특성을 중심으로
도교문화연구
2019 .05
고려시대 風水地理思想의 이해 방향
역사와경계
2017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