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교육영화란 무엇인가 : 교육영화의 개념과 수용
씨네포럼
2015 .12
『영화연구』 103호 특집논문을 엮으며
영화연구
2025 .03
‘영화연구’를 말한다
영화연구
2024 .06
『영화연구』 제100호에 부쳐
영화연구
2024 .06
포스트시네마로의 전환
영화연구
2015 .06
포스트-시네마 시대의 노스탤지어 영화-디지털 시각효과와 필름 영화의 향수-
현대영화연구
2018 .01
포스트-시네마의 재귀성에 관한 고찰
영화연구
2024 .09
정재훈, 임철민, 디지털 실험 다큐멘터리
아시아영화연구
2019 .01
포스트 코로나 영화정책 2022 - 디지털 미디어로 한 폭 더 넓어지는 한국영화
기타 간행물
2021 .10
1980년대 비제도권 영화운동의 이론과 실천-영상 매체의 민주화와 (급진적) 재발명-
현대영화연구
2018 .01
태양계에 비유한 1990년대 한국영화 지형: 밈(meme) 개념으로
현대영화연구
2022 .02
동시대 한국 여성주의 다큐멘터리 영화에 나타난 재현 전략: 〈우리는 매일매일〉, 〈박강아름 결혼하다 〉를 중심으로
영화연구
2022 .03
이미지와 언어를 통합하는 영화의 프레임 : 프레임의 이중성: 현실과 상상
미술문화연구
2017 .06
기억과 심리에 접근하는 영화 형식에 대한 연구 -영화<한공주>를 중심으로
아시아영화연구
2020 .01
국가가 시장을 지배했을 때: 1970년대 중후반 우수영화-외화수입쿼터 커넥션과 한국영화
영화연구
2023 .06
일본의 영화 산업과 독립영화 생태계
아시아영화연구
2019 .01
국내 다양성영화 포스터의 시각적 상징성에 관한 연구 : 롤랑바르트의 기호학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015 .03
2000년대 한국 대중영화를 통해 바라본 사회ㆍ정치적 담론과 미디어적 현상 연구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2016 .03
일본에서의 한국영화 수용과 이장호 영화의 효과
씨네포럼
2022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