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초록
I. 들어가며
II. 필론과 친인척
III. 필론에 관한 보도들과 그리스도교의 필론 수용
IV. 필론의 철학 유형과 작품들
V. 필론 저작들에 대한 번역 및 연구 현황
VI. 마무리하며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Philo’s Understanding of Genesis 1-3 and the Origin of Sin and Death
신약논단
2020 .06
요한복음의 παράκλητος - 알렉산드리아의 필론을 참조하여
신약논단
2024 .06
알렉산드리아의 필론에 있어 희랍적 paideia와 유대적 paideia
철학논집
2019 .01
필론과 사해사본의 인간의 도덕적 타락 이해
구약논집
2024 .07
포도나무에 깃든 평화 : 요한복음의 평화 연구
신약논단
2015 .03
현대소설 공간에 나타난 모빌리티 양상―이문열의 「필론과 돼지」와 오에 겐자부로의 「人間の 羊」을 중심으로―
日本學硏究
2024 .01
알렉산드리아의 필론의 감정론
철학논집
2021 .08
사도행전 12장 배후의 유대와 로마 관계사 - 아그립바 1세를 중심으로 -
신앙과 학문
2019 .01
주후 1세기 요세푸스와 무명의 필로가 전해주는 성경의 여성들 : 드보라, 한나와 입다의 딸
한국여성신학
2017 .12
위(僞) 필로(Pseudo-Philo)의 『성서 고대사』 53장에서 재해석된 사무엘의 소명 담화 - 청각적 메시지의 강조, 주술 개념의 첨가, 등장 인물의 생동적 묘사를 중심으로 -
성서마당
2015 .03
아브라함과 이방인의 회심, 그리고 하나님의 영에 대한 바울과 필로의 이해 비교
신약논단
2018 .09
고대 히브리사상과 헬레니즘에 비추어 본 ‘감정’의 세계 : 신약성서의 ‘감정’ 이해를 위한 배경사적 고찰
신약논단
2015 .06
창세기 1:26의 신적인 ‘우리’에 대한 해석학적 전통과 바울
성경원문연구
2021 .04
<서평>_조재형의 『그리스-로마 종교와 신약성서』 서평 : 그리스-로마 종교와 신약성서, 조재형 저, 서울: 부크크, 2018
Canon&Culture
2018 .10
구약성서와 신약성서의 관계 : 다니엘서와 요한계시록을 중심으로
구약논단
2018 .12
복음서 연구를 위한 요세푸스의 중요성과 활용에 대한 재고
신학과세계
2020 .06
Is the Old Testament Too Old for Christian Ethics?
성경원문연구
2020 .10
인간의 텍스트로서 신약 성경
동국사학
2018 .01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와 친구의 문제
철학논총
2018 .04
요한의 로고스의 이미지들: 필로의 로고스와 인격화된 지혜의 관계성을 분석하면서
신약연구
2021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