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기원석, 낭독회 그리고 우리 : 기원석, 『가장낭독회』
자음과모음
2024 .12
[기록] 백 번째 304낭독회를 시작하며
청색종이
2022 .12
1988년 “버마”로 1980년 광주를 기억하기 : 한국 신문의 미얀마 민중항쟁 보도를 중심으로
서강인문논총
2020 .04
내 소원은 미얀마의 평화와 안정이다
인문과 예술
2021 .01
[미얀마] 쿠데타에 대항하는 미얀마 시민들
창비어린이
2021 .06
한국과 미얀마의 유아교육과정의 구성체계, 목적 및 내용에 대한 비교
유라시아연구
2023 .03
신남방 국가의 학습자 변인과 한국어 교육 -미얀마, 인도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2021 .12
동시대 미얀마 봉기에 어떻게 연루될 것인가? −제국주의 관점에서 본 미얀마−
현대사상
2023 .02
개념 ‘목요일’의 명칭론적 접근 : 유럽의 언어를 중심으로
코기토
2024 .10
미얀마 서부지역 무슬림 집단의 형성과 그 갈등의 배경
건지인문학
2018 .01
1980년대 기독교 공론장의 공통적 가치와 공공성 ― 목요 예배와 교양 강좌회를 중심으로
신학사상
2021 .01
장기화된 미얀마 위기, 중층적으로 읽기
황해문화
2021 .06
미얀마 한인 교회 현황
미션인사이트
2016 .02
사무엘-열왕기//역대기 평행본문 번역의 상호독회를 위한 제언
성경원문연구
2022 .08
[일상으로의 초대] 미얀마에서 온 편지
월간에세이
2022 .03
미얀마 군부 지배의 역사적 고찰 - 그 정치 동력의 구조
역사비평
2021 .08
미얀마인 학습자의 한국어 읽기 불안과 학습 불안 연구
언어사실과 관점
2019 .01
The Ambivalence of John Steinbeck’s Sweet Thursday: Based on Jungian Psychology
영어영문학연구
2015 .01
한국어와 미얀마어의 합성명사 대조 연구 -외래어를 중심으로-
한민족문화연구
2019 .01
한국어와 미얀마어 ‘손’관련 관용표현에 대한 비교 연구 -개념적 은유 이론을 중심으로-
한민족문화연구
2021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