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한국중국어문학회 중국문학 중국문학 제73권
발행연도
2012.1
수록면
211 - 229 (19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本文从语义、句法、语用的角度,探讨了副词近义词群‘只得,只好,只有’的相似性和区别性。   首先,在语义上,‘只得,只好,只有’以‘不得已’的词义使用时,都能交换使用。不过,‘只有’能以‘唯有’的词义使用,这种场合不能用‘只得,只好’。调查结果显示,‘不得已’程度高的词语与‘只有’的同现率最高,‘不得已’程度中等的词语与‘只好’的同现率最高。由此可见,‘不得已’程度最高的是'只有’,其次是‘只好’,‘只得’。  在句法上,‘只得,只好,只有’作为副词都能修饰动词。不过,‘只好’作为连词在因果复句使用时,‘只得,只有’受到使用上的限制。作为连词的‘只有’可用在唯一条件复句和否则转折复句,而‘只得,只好’受限制。在观察与句子成份同现情况时发现,‘只得'具有元语和非元语的特征,因此它与具[±生命][±人类]语义特征的主语同现的范围最广。其次是'只好','只有’,因它们只有元语的特征。据北大语料,自主动词能与‘只得,只好,只有’同现。非自主动词能与‘只得,只好’同现,不能与‘只有’同现。由否定副词‘不’组成的‘不V而V’,‘四字成语’能与‘只得,只好’同现,北大语料显示,‘只好’与‘不’的同现率最高。在语用上,‘只好’可用在口语和书面语。北大语料显示,‘只好’更多地用在口语上。‘只得’主要用在书面语上。与此相反,‘只有’主要用在口语上。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14)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