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한국중국어문학회 중국문학 중국문학 제42권
발행연도
2004.1
수록면
17 - 26 (10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중국문화의 근원이자 기본 패러다임으로 작용해 온 이른바 天人合一 사상은 自然과 人間, 社會를 통일적이고 조화적이며 유기체적으로 간주하는 思惟模式으로, 이는 자연과 인간을 분리적이고 대립적으로 보는 서양적 사유모식과 근본적으로 다르다.필자는 이러한 중국문화의 기본 사유모식인 天人合一 사상의 근원을 탐구하는 과정에서, 이에 대한 근원이 「敬」사상의 발생과 변천과정 속에 내포된 고유한 사유형태에 있다고 인식하고, 이를 政治經濟史的 接近方法을 위주로 하고 전통적인 訓學的 方法을 보조수단으로 하여 분석 고찰하였다.原始公有制 사회에서, 인간은 외계사물이나 현상에 대한 무지로 인해 막연한 원시적 공포감과 숭배의식이 생겨났고 이는 원시적 宗敎觀念을 낳게 하였다. 이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인류의 보편적 현상이며, 특히 중국에서「敬」의 원시적 개념이 공포로 인한 경계감과 自肅의 의미를 갖게 된 정치사회적 배경이기도 하다.인류의 所有觀念의 발생과 더불어 父系社會와 農耕社會로 접어들면서, 특히 농경의 천혜지인 중국에서는 「天」이 풍요로운 수확을 내려주고 만물의 생명과 양육을 가능케 해주는 원천으로 여겨 이에 대한 은혜로움과 숭배의식이 생겨났는데, 이로부터 「敬」의 內涵이 원시적 恐怖槪念으로부터 感謝와 恩惠意識에서 나온 恭敬槪念으로 전화되었고, 이것이 중국문화가 自然과 人間을 조화적이고 유기체적으로 간주하게 된 근원으로 작용되었다.政治思想史적인 측면에서 보면, 夏와 商왕조는 인간의 「天」에 대한 원시적 恐怖意識을 정치에 이용하여 통치권을 유지하였고, 周公은 새 왕조의 정통성을 확립하는 과정에서 「天」에 대한 공포의식으로는 더 이상 통치권위를 창출할 수 없음을 명확히 인식하고 「天」에 대한 공경의식에서 나온 「德」의 개념을 이용하여 정통성을 획득했으니 이것이 이른바 「以德配天」사상이며 이로 인해 「敬德」사상은 주대의 핵심 정치사상으로 자리매김 되었다.春秋時代에 이르러 周初의 이상적인 질서체제가 무너진 와중에서 출현한 孔子는 禮樂이 붕괴된 원인과 이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天」의 권위로는 더 이상 현실사회의 질서를 유지할 수 없음을 정확히 인식하고, 질서유지의 근원을 인간 자신의 문제로 끌어내리는 한편,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周代에 다만 정치행위상에만 국한되고 여전히 「天」의 권위에 의지했던 「敬德」사상을 인간 자신의 內在的 修養槪念과 外在的 實踐行爲를 겸비한 倫理思想的 범주로 발전시켰는데, 이것이 孔子의 핵심사상인 「仁」사상이다.총괄하면, 원시시대 「天」에 대한 恐怖意識과 농경시대 「天」에 대한 恩惠意識으로부터 발생된 「敬」관념이 孔子에 이르러 인간의 내재적 수양과 외재적 실천을 겸비한 「仁」사상으로 발전되었으며, 이것은 후대 중국문화 고유의 우수한 인문정신으로 뿌리내렸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15)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