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대한임상미생물학회 Annals of Clinical Microbiology Annals of Clinical Microbiology 제20권 제2호
발행연도
2017.1
수록면
42 - 51 (10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배경: B군 사슬알균(Group B streptococcus, GBS)은 신생아의 감염과 사망의 주요 원인균이다. 미국의 질병예방통제센터는 GBS의 수직감염을 예방하기 위하여 35-37주 임산부를 대상으로 배양, 라텍스 응집법(latex agglutination test) 또는 핵산 증폭 검사(nucleic acid amplification test)와 같은 검사법을 이용하여 GBS의 집락화 여부를 확인하고, 필요시 항균제를 사용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임신한 여성을 대상으로 GBS 검출을 위한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법(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의 진단정확성과 검출률을 조사하여 임상적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방법: 문헌검색은 KoreaMed, Ovid-MEDLINE, Ovid-EMBASE, Cochrane Library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2015년 11월 3일에 이루어졌다. 검색전략에 따라 ‘Group B Streptococcus’, ‘real 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등의 단어로 검색하고, 수기검색된 2편을 포함하여 총 443편의 문헌이 확인되었다. 두 명의 연구자가 독립적으로 문헌을 선택하였으며,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s Network의 방법론적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여 문헌의 질을 확인하였다. 결과: 선택된 총 34편의 문헌에서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법의 진단정확성에 대한 메타분석이 수행되었다(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법: 13,516건, 배양검사 및 기타검사: 1,815건). 문헌에서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확인된 임산부의 GBS 집락화율을 2.0-69.8%였다. 중재검사의 진단정확성은 통합 민감도 0.93 (95% CI 0.92-0.94, I2=86.3%), 통합 특이도 0.96 (95% CI 0.96-0.96, I2=90.2%), SROC AUC (summary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area under the curve)가 0.99로 보고되었다. 결론: 임신부를 대상으로 GBS를 검출하는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법은 진단정확성이 높아 신생아 수직감염을 예방하는데 있어 유효성이 있는 검사로 판단된다. [Ann Clin Microbiol 2017;20:42-51]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48)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