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초등 과학 탐구 교육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교육적 시사점을 얻고자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탐구과정 내용을 분석한 연구이다. 또한 교육과정을 이수함에 따라 초등학생들이 탐구과정에 대한 인식을 심화하고, 탐구 사고력을 신장하고 있는가를 조사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 과학교과서의 전체 107개의 주제 중 기초 탐구과정(50.0%)이 통합 탐구과정(25.3%)보다 높았으며, 통합 탐구과정의 비율은 계속 증가하였다. 내용 영역별로 각 주제에 적합한 탐구 요소를 활용하나, 대부분(95.3%)이 일련의 탐구과정 중 일부 요소를 단편적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따라서 학생들이 과학지식의 형성 과정인 탐구과정을 큰 흐름으로 인식할 수 있는 수업 구성이 필요하다.
둘째, 학교 과학 수업을 통한 탐구과정 경험은 학년에 따라 증가하나(5학년 58.9%, 6학년 69.3%), 탐구과정에 대한 이해도는 감소하였다(5학년 50.1%, 6학년 44.0%). 이는 교과서 분석 결과 학년에 따라 활동 난이도가 증가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탐구 과정 안내 수업 시수를 배당하고 과학지식의 본성, 탐구의 의미, 요소, 절차, 유의점 등에 대한 체계적인 탐구 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명시적인 탐구 안내 수업을 통해 탐구과정에 대한 친숙함과 이해도를 높인다면 탐구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해소하고, 장기적으로 긍정적인 인식 형성과 탐구 능력 성취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2007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이수를 통해 초등학생의 기초․ 통합 탐구 사고력이 신장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 탐구 능력, U = 13706.0, p = .002(양방검증); 통합 탐구 능력, U = 14522.0, p = .022(양방검증). 특히 측정, 예상, 변인통제는 학년에 따라 유의한 탐구 사고력 신장이 있었다, 측정 U = 14764.5, p = .027; 예상 U = 13700.0, p = .001; 변인통제 U = 14410.0, p = .005. 그러나 가설설정, 자료변환, 결론도출과 같이 학년에 따라 탐구 사고력 성취 변화가 없는 경우 제시 빈도가 낮아(가설설정 4.7%, 자료변환 5.6%) 추가적인 학습이 부족했다고 사료되므로 제시 비율 조정이 필요하다, 가설설정 (3, N = 374) = 2.8, p = .417; 자료변환 (3, N = 374) = 2.7, p = .443; 결론도출 (3, N = 374) = 2.8, p = .428. 아울러, 성취 수준이 낮은 자료해석(5학년 Mdn = 1.7, 6학년 Mdn = 1.8) 등에 대해서 세부 응답 분석을 통해 학생들이 탐구 사고 과정에서 겪은 어려움을 파악하여 지도의 주안점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시사점을 향후 초등 탐구 교육 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한다면 교육과정에서 지향하는 탐구 능력을 함양하는 데 더욱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eaching scientific inquiry in the elementary school science education. Analysis of 107 inquiry activities in the 5th and the 6th grade science textbooks under the 2007 revised curriculum showed that there were twice as many basic science process skills (50.0%) as integrated process skills (25.3%). To examine elementary students’ awareness of inquiry processes and science process skills (SPSs), a tool with two sections was developed: The first part asked students about their experience and proficiency with 13 inquiry processes and the second part tested their competence in the SPSs. The tool was given to 367 elementary students (188 fifth and 179 sixth graders). The results of the first part showed the students’ experience with SPSs increased (5th graders 58.9%, 6th graders 69.3%). However, their self-assessed understanding of SPSs decreased (5th graders 50.1%, 6th graders 44.0%). The results of the second part showed that significant improvements were found in SPSs between the 5th and the 6th graders; measuring U=14764.5, p=.027; predicting U=13700.0, p=.001; and controlling variables U=14410.0, p=.005. Nevertheless, several SPSs had no difference between the 5th and the 6th graders, such as hypothesizing (3, N=374)=2.8, p=.417; transforming data (3, N=374)=2.7, p=.443; and drawing conclusions (3, N=374)=2.8, p=.428. Moreover, students’ abilities for interpreting data remained low (5th graders Mdn=1.7, 6th graders Mdn=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