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Hong-Bae Kim (Dongseo University) Heejung Youn (Pusan National University) Berdiyor Orzikulov (Dongseo University)
저널정보
한국산업경제학회 산업경제연구 산업경제연구 제32권 제4호(통권 제144호)
발행연도
2019.8
수록면
1,333 - 1,353 (21page)
DOI
10.22558/jieb.2019.08.32.4.1333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금융위기는 실물경제에 대한 중대한 영향을 끼치므로 금융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이 국가경제의 훼손을 막고 경제성장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방법이다. 따라서 금융위기에 대한 원인을 선제적으로 파악하여 효율적인 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최근까지 중앙은행과 규제기관의 금융안정성을 위한 건전성 정책은 거시건전성 및 미시건전성 정책을 통해 진행되어 왔지만 여전히 금융시장은 불안하고 안정화를 달성하기에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최근의 신기술인 빅데이터와 가상통화를 이용하여 금융안정성을 달성하기 위한 두 가지 시험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첫째, 빅데이터를 통해 복합적인 금융기관과 금융시장망의 상호연계성에 의한 금융위기 전염을 분석하는 금융네트워크 모형(Financial Network Model)이다. 둘째, 4차 산업혁명의 블록체인 기반경제에서의 지불수단이 될 디지털 화폐를 이용한 금융안정성 정책 추진이다.
본 연구를 통해 전통적인 건전성 정책의 한계를 극복하여 금융네트워크 모형과 디지털 화폐를 통한 화폐의 본질적 기능으로 금융시장 안정화를 달성하는 대안으로 논의될 있기를 기대한다.

목차

Ⅰ. Introduction
II. The Factors of Financial Crisis
III. Traditional Policies Toward Financial Stability
Ⅳ. New Approaches to Financial Stability
V. Conclusion
References
초록

참고문헌 (52)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