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한국중국문화학회 중국학논총 중국학논총 제35호
발행연도
2012.1
수록면
265 - 282 (18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明代初期學術的趨向是以程朱理學爲主流, 這個現象與當時的學風和科擧有關。陸象山獨闢的心學在明代初期還是寢寂無傳, 直到陳白沙闡揚 ‘此心此理’․‘良知良能’等學說內涵, 象山學才逐漸顯露出來。王陽明專提 ‘致良知’, 他所建立的學說, 不但遙契回歸孟子學, 也可視爲是心學的復興。王龍溪的心學思想大扺紹承王陽明。他對良知與致良知的闡發, 雖然不免攙入己說, 然而他所詮說的內容和方式與王陽明相去未遠; 而對 ‘見成良知’的凸出發明, 不僅在王龍溪當時引起同門的廣泛質疑與爭辯, 其他學派學者更以近禪相譏; 至於良知 ‘四無’的提出, 不但震撼整個王門學派, 更被淸代黃宗羲指爲王學墮落的禍源。 然而, 王龍溪在思想史上的地位也因此而確立。因此, 本文所要探討的王龍溪良知論卽分作良知論的理論背景與良知本體來討論之。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9)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