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序論
2. 先行硏究
3. 硏究 內容 및 方法
4. 日本人 人名의 音訳表記의 實態
5. 考察
6. 結論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魏志倭人?における音韻?系に?する小考 ― 表記の?点より見る「?馬獲支」の「支」の?み ―
日本語敎育
2020 .01
仮名写本における動詞の表記の変容 : 漢字の草体表記と略体表記
한국일본어학회 학술발표회
2017 .09
日本の「外来語の表記」のゆれと新しい表記法の提案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23 .11
祝詞(のりと)․宣命(せんみょう)의 助詞
일본어학연구
2021 .06
고등학교 「韓國史」 교과서의 國語學的 檢討
어문론집
2016 .09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언해)下 1-1, 1-2에 기입된 구결(口訣)과 내용 연구
우리어문연구
2023 .01
심연수 문학 사료에 나타난 표기상의 특징
영주어문
2021 .01
『和英語林集成』의 三字漢字表記語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18 .04
일제강점기신문인 조선시보의 〈광고〉에 기재된 외래어표기 고찰 - 191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를 중심으로 -
일본문화연구
2022 .04
일제강점기 조선 국어독본의 외래어 표기에 관한 일고찰
일본문화학보
2015 .02
『児学編』にみられる日本語の文字と表記について
한국일본어학회 학술발표회
2018 .09
『同文類解』 滿洲語 한글 表記의 轉字的 性格에 대하여
어문연구(語文硏究)
2017 .01
‘보통학교용 언문철자법(1912)’의 제정 의도와 표기사적 문제점
국어사연구
2017 .01
『朝鮮王朝實錄』に見られる日本人名の 音譯表記法に関する研究(1)
일어일문학
2021 .08
『朝鮮王朝実錄』に見られる日本人名の音譯表記法に関する研究 (2)
일어일문학
2022 .05
『日本書紀』における百済・新羅・高句麗の地名考察
日本語敎育
2022 .03
韓国開化期の日本語学習書における母音音注表記に関する考察
일본문화학보
2019 .05
개화기 교과서의 표기와 음운의 연구 성과 및 전망
국어사연구
2018 .01
街の印象と外来語表記の関係 : 東京の中心と郊外における飲食店メニューの比較から
한국일본어학회 학술발표회
2019 .03
온라인에서 대학생의 비규범 표기 허용도 연구 -규범 표기 지식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
2022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