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들어가며: 정체성 정치와 그 불만
Ⅱ. 퀴어이론의 정동이론
Ⅲ. 마무리하며: 페미니즘의 퀴어정동정치를 향하여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페미니즘 난국(feminism crisis)의 도발적 변곡점 : 급진퀴어페미니즘은 가능한가?
한국여성학
2017 .09
퀴어에 대한 언어 , 퀴어의 언어
여/성이론
2015 .05
몹시도 퀴어한 페미니즘 인문 기행
여/성이론
2020 .08
세계만들기로서의 퀴어정치학 : ‘우리’의 이야기들, ‘우리’를 변형시켜온 과정들
한국여성학
2018 .12
젠더로 경합/불화하는 정치학 : 트랜스젠더퀴어, 페미니즘, 그리고 퀴어 연구의 이론사를 개괄하기
여/성이론
2018 .06
다시, 도래할 페미니즘을 위한 정동의 정치 : 임옥희, 『젠더 감정 정치』 (여이연, 2016)
여/성이론
2016 .11
급진-문화 페미니즘과 트랜스-퀴어 정치학 사이 : 1960년대 이후 미국 여성운동 사례를 중심으로
페미니즘 연구
2018 .04
한국, 퀴어 문학, 역사: ‘한국 퀴어 문학사’를 상상하기
여/성이론
2019 .12
자유의 정치적 실천으로서 페미니즘
젠더와 문화
2016 .12
번역된 섹슈얼리티, 식민지 조선의 퀴어와 만나다 : 박차민정(2018), 『조선의 퀴어』, 현실문화
한국여성학
2018 .09
`불편한` 페미니즘, `나쁜` 페미니즘, 그리고 우리 안의 페미니즘 : 페미니즘 대중서 읽기
페미니즘 연구
2016 .10
혐오의 정동
현상과인식
2021 .12
지역 청년퀴어의 복합적 차별과 공간 퀴어링
젠더와 문화
2023 .12
계속해보게 하는 진행형의 사유 :『 퀴어 이론 산책하기』
여/성이론
2021 .08
급진 페미니즘(Radical Feminism)
여/성이론
2018 .12
페미니즘 정치학, 역사적 시간, 그리고 인종적 차이 : 미국 제2물결 페미니즘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2016 .12
‘최초’를 넘어 다양한 해석과 논쟁의 장으로 : 루인·한채윤(2024), 『퀴어한국사: 1일 1페이지 퀴어한 역사 읽기』, 서울: 이매진
한국여성학
2025 .03
남성 퀴어의 성 정체성과 소설적 재현 : 김봉곤, 박상영의 소설을 중심으로
문화와융합
2020 .09
페미니즘 대중화 시대에 페미니즘 고전 읽기 : 김진희, 『페미니즘의 방아쇠를 당기다』, 푸른역사, 2018.
한국여성학
2018 .12
퀴어문화축제에서 모두의 축제를 꿈꾸다
여/성이론
2017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