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건축과 해부 : 오현종, 『옛날 옛적에 자객의 칼날은』(문학동네, 2015) / 이신조, 『크리에이터』(문학과지성사, 2015) / 편혜영, 『선의 법칙』(문학동네, 2015)
자음과모음
2015 .09
함부로 오해해서 사랑해 : 이희주, 『환상통』(문학동네, 2016)
자음과모음
2022 .03
부재와 현존의 변증법: 재난이 낳은 심연 건너기 : 김인숙, 『모든 빛깔들의 밤』(문학동네, 2014)
자음과모음
2015 .03
불행의 방문 :편혜영, 『어쩌면 스무 번』(문학동네, 2021)
자음과모음
2021 .06
기억과 성찰의 사이에서 : 김채원, 『쪽배의 노래』(문학동네, 2015)
자음과모음
2015 .06
최선의 불행 : 황현진, 『해피 엔딩 말고 다행한 엔딩』(문학동네, 2021)
자음과모음
2021 .06
“외계행성에 불시착한 지구인처럼, 고독한” : 김금희, 『오직 한 사람의 차지』(문학동네, 2019)
자음과모음
2019 .12
중얼거리는 소설들 : 정용준, 『우리는 혈육이 아니냐』(문학동네, 2015)_백가흠, 『사십사』(문학과지성사, 2015)_김중혁, 『가짜 팔로 하는 포옹』(문학동네, 2015)
자음과모음
2015 .12
소설, 이 끝에서 저 끝까지 : 정세랑, 『보건교사 안은영』(민음사, 2015)_배명훈, 『첫숨』(문학과지성사, 2015)_진연주, 『코케인』(문학동네, 2015)
자음과모음
2016 .03
[이 계절의 장편소설] 믿을 수 없는 세 개의 독법과 믿음직한 세 가지 진실 : 장강명, 『그믐, 또는 당신이 세계를 기억하는 방식』(문학동네, 2015)
자음과모음
2015 .12
여전히 무해하길 바라는 선량한 고백을 감당한다는 것 : 최은영의 『내게 무해한 사람』(문학동네, 2018)을 읽고
한국문학과 예술
2018 .06
우리 동네
수필미학
2019 .03
노래를 품은 동시
창비어린이
2023 .03
함민복 시에 드러난 “눈물”의 긍정성 -슬픔의 지향성을 중심으로-
국어문학
2024 .07
동네의 기억
월간에세이
2022 .08
특별하지 않은 동네는 없다
월간에세이
2018 .03
백석(白石)으로 읽는 백석(白石) -『정본백석소설 · 수필』(백석, 문학동네, 2019)을 읽고-
한국문학과 예술
2019 .12
시가 다시 노래가 되었을 때
창비어린이
2020 .09
노래를 불렀지
푸른사상
2023 .06
들옥의 노래
수필미학
2017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