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박건도 (한국교통대학교)
저널정보
한양법학회 한양법학 한양법학 제30권 제1집(통권 제65집)
발행연도
2019.2
수록면
175 - 197 (23page)
DOI
10.35227/HYLR.2019.02.30.1.175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Under the “Special Act on Designation of Livelihood Type Businesses Suitable for Micro Enterprises”, which took effect on December 13, 2018, made new provisions for designation of ‘Livelihood Type Businesses Suitable for Micro Enterprises’ for the guarantee of one`s right to live of micro enterprises. This has taken a step further from the ‘Business Types Suitable for Small-Medium Enterprises’ under the current “Act on the Promotion of Collaborative Cooperation between Large Enterprises and Small-Medium Enterprises”.
This paper looked at relevant issues with regard to the legal validity, particularly the unconstitutional nature of the system of livelihood type businesses suitable for micro enterprises. First, the history of the business types suitable for small-medium enterprise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this system was summarized. And the key details specified by the Livelihood Type Businesses Suitable for Micro Enterprises Act and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same Act were clearly indicated. Then the matters like constitutional restrictions on the fundamental rights was discussed.
There are conflicting opinions about the system in terms of economic effectiveness and legal validity, but it is unlikely that the system will violate the Constitution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al Court’s related decisions. However, if problems that were unexpected or overlooked at the time of drafting the system occur in the course of implementation of the law, efforts to reflect them immediately will also need to be made.

목차

Ⅰ. 서론
Ⅱ. 중소기업 적합업종 제도의 연혁
Ⅲ. 생계형 적합업종법의 주요내용
Ⅳ. 생계형 적합업종 제도의 법적 쟁점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11)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과 연관된 판례 (3)

  • 대법원 2015. 11. 19. 선고 2015두295 전원합의체 판결

    [1] 기존의 행정처분을 변경하는 내용의 행정처분이 뒤따르는 경우, 후속처분이 종전 처분을 완전히 대체하는 것이거나 주요 부분을 실질적으로 변경하는 내용인 경우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종전처분은 효력을 상실하고 후속처분만이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지만, 후속처분의 내용이 종전처분의 유효를 전제로 내용 중 일부만을 추가·철회·변경하는 것이고 추가·철회·변

    자세히 보기
  • 헌법재판소 2015. 7. 30. 선고 2013헌바204 결정

    자산의 양도, 즉 자산의 사실상 유상이전이 발생할 수 있는 거래는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고 경제 상황 등에 의해 수시로 변할 수 있으므로, 경제현실의 변화나 전문적인 기술 발달 등에 유연한 대응을 하기 위해서는 자산의 취득시기 및 양도시기의 구체적인 내용을 하위법령에 위임할 필요성이 인정된다.

    자세히 보기
  • 헌법재판소 1996. 12. 26. 선고 96헌가18 전원재판부

    가. 헌법재판소는 위헌법률심판절차에 있어서 규범의 위헌성을 【제청법원】이나 【제청신청인】이 주장하는 법적 관점에서만 아니라 심판대상규범의 법적 효과를 고려하여 모든 헌법적 관점에서 심사한다. 법원의 위헌제청을 통하여 제한되는 것은 오로지 심판의 대상인 법률조항이지 위헌심사의 기준이 아니다.

    자세히 보기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9-360-000558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