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론문요지]
3. 동의토의 본질과 류형
4. 동의 토구분의 선택조건
참고문헌
[论文摘要]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조선어 토의 옳바른 사용과 관련한 몇가지 문제 -출판물에서의 적절한‘ 토’의 사용에 대하여
중국조선어문
2022 .11
부정문에 나타나는 `-지`의 정체에 대하여
중국조선어문
2018 .03
이호미(履虎尾)라
월간에세이
2020 .01
‘술’에 구현된 해학성 -『 尾編·酒場』을 중심으로-
고전과 해석
2022 .04
중세 일본의 논어 훈독에 나타난 なり・たり 고찰
일본어학연구
2022 .09
事實性으로 바라본 『??尾編?科場』의 특징과 의미
동양고전연구
2020 .01
글짓기에서의 결말 맺기 방법 몇가지
중국조선어문
2020 .05
한어중고음의 입성운미 ‘-k’와 조선한자음의 운미 비교 : ‘逼’자를 중심으로
중국조선어문
2018 .11
宋元話本小說 ‘篇尾’에 나타난 수사학적 표현예술의 의미 연구
중국학
2016 .01
양태적의미를 나타내는 조선어의 “-지”와 한어의 “吧”의 대조연구
중국조선어문
2015 .09
중국 함경도방언지역에서의 의문형 종결어미의 실현양상
중국조선어문
2022 .03
중국 경상도방언지역에서의 종결어미 실현양상
중국조선어문
2023 .01
開化期國語 終結語尾와 {-느-}의 結合 樣相 - 終結語尾 ‘-니’, ‘-다’를 중심으로 -
어문연구(語文硏究)
2015 .09
련결어미 ‘ -느라고’의 의미와 제약에 대한 재고찰
중국조선어문
2022 .01
宋元話本小說 ‘篇尾’의 ‘修辭格’ 운용 방식 연구
중어중문학
2016 .03
말브랑슈 철학의 미로 ‒기회원인론과 인간 자유의 양립가능성‒
철학
2020 .05
Dreams in Wartime: Dream Records and Dream Interpretation Recorded in 1592 in O Huimun’s Swaemirok (Record of a Refugee 瑣尾錄)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21 .12
《四聲通解》에 나타난 今俗音의 성격에 대하여
중국문학
2017 .08
양태의미를 나타내는 조선어 종결어미 ‘-잖아’와 한어 어기사의 대응연구
중국조선어문
2024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