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The Exegetical Basis
The Dogmatic Question about the Resurrection
The Hermeneutical Question
The Status of History in Pannenberg’s Theology of the Resurrection
Conclusion
Bibliography
Abstract
국문초록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조직신학적 관점에서 보는 부활 ╶ 개신교 현대 조직신학자 바르트 판넨베르크 몰트만을 중심으로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2024 .06
예수 부활과 초대교회의 해석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2024 .06
역사적 예수의 부활에 대한 연구자들의 주장들과 이에 대한 고찰
선교와 신학
2019 .02
[일반] 죽은 자의 부활과 예수의 부활
성서마당
2025 .03
The Resurrection of Jesus and the Inner Circumstances of the Matthean Community
피어선 신학 논단
2025 .02
예수님이 부활하셨다(X) 예수가 부활했다(O)
제3시대
2018 .04
생성기 기독교의 ‘부활’ 신앙 모티프와 그 전개과정 - 신약성서 자료에 대한 ‘발전론적’ 분석을 중심으로
신학과 사회
2019 .01
부활, 그 이후를 산다는 것(막 16:6~7)
제3시대
2019 .05
몰트만(J. Moltmann)의 부활 이해: 통전적 성격을 중심으로
선교와 신학
2020 .02
「부활에 대한 논고」(NHC 1,4)의 ‘육신의 부활’ 개념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2024 .06
예수의 성육신이 지니는 보편사적 의미 : 판넨베르크의 보편사 신학을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신학논총
2019 .04
조지 허버트의 『성전』에 나타난 ‘부활’
문학과 종교
2020 .01
신약성경의 초기 전승층에 나타난 예수의 몸의 부활
신학과 목회
2020 .11
예수의 죽으심과 부활하심을 중심으로 바라본 십자가의 신학
복음과 선교
2019 .01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에 나타난 ‘전인(全人)으로서의 부활관’과 교회의 종말론적 가르침에 대한 신학적 고찰
신학전망
2017 .03
‘엠마오로 가는 제자들’의 전례적 요소
가톨릭신학
2021 .12
구약성경에 나타난 부활 - 시편을 중심으로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2024 .06
고린도전서 15:29, 죽은 자를 위한 대리세례와 바울의 부활론
한국기독교신학논총
2020 .01
The Resurrection of the Dead and Ethics in 1 Corinthians 15:1-34
TORCH TRINITY Journal
2024 .12
도마는 부활한 예수를 언제 처음 만났는가?
피어선 신학 논단
2021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