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이득재 (대구가톨릭대)
저널정보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마르크스주의 연구) 마르크스주의 연구 마르크스주의 연구 제15권 제4호
발행연도
2018.11
수록면
76 - 104 (29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시민사회 쪽에서 협동조합이나 사회적 기업 등에 대한 관심이 생겨났다. 정부의 지원을 받아 진행되는 이 사업은 젊은이들을 일시적으로 창업 쪽으로 이끄는 미끼구실을 하고 있다. 그런데 진보좌파 진영에서는 이러한 시민사회의 흐름에 대한 대항적인 협동조합 구상 등에 대해 아무런 관심이 없다. 마르크스는 『경제 철학 수고』를 비롯한 초기 저작들에서부터 19세기 초 영국, 독일, 프랑스에서 일어난 협동조합운동에 큰 관심을 갖고 있었고 귀족들의 연합체 ‘Verband’에 대한 대항적인 연합체 ‘Verein’를 구상하기도 했다. “각인의 자유로운 전개가 만인의 자유로운 전개의 조건이 되는 하나의 어소시에이션이 출현한다”는 󰡔공산당 선언󰡕의 유명한 말처럼 마르크스는 이 선언에서 어소시에이션의 골격을 세운 후에 협동조합론을 적극적으로 미래사회의 발판으로 위치시켜 나가기 시작한다.
그 과정에서 마르크스는 독일의 슐츠, 영국의 초기사회주의자들, 프랑스의 루소와 프랑스의 기층노동자들의 영향 속에서 자신의 어소시에이션론의 토대를 구축해 나간다. 본 논문은 여기서 주로 마르크스가 루소의 사회계약론을 발췌해 가면서 보았던 ‘크로이츠나흐 노트’를 중심으로 루소의 어소시에이션론을 비판하는 논의를 살펴보는 한편, 마르크스가 문화적인 충격을 받았던 프랑스의 기층 노동자들이 노동자신문들을 중심으로 하여 벌였던 생산협동조합 운동에 대한 마르크스의 평가를 통해 어소시에이션론이 마르크스의 사상 초기에 형성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그러는 가운데 어소시에이션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아주 다양한 의미도 짚어갈 것이다. 1860년에 나온 「공장감독관보고서」 이후의 마르크스의 저작에 나타난 어소시에이션론은 추후 작업 과제로 남겨둔다.
마르크스의 어소시에이션론은 일본에서 반세기 이상 논의되어 오면서 소련 현실사회주의 비판에 대한 대안이론으로 제시되고 있다. 1966년에 출판된 히로시니모토노부(廣西元信)의 󰡔자본론의 오역󰡕은 그 당시 사회주의를 국유화라고 믿고 있던 상황에서 노동자들이 횡적으로 연합 제휴하는 어소시에이션을 처음 주장하는 저작이었고 그 후 1970, 1980, 1990년대 논쟁을 거쳐 최근에는 오오타니데이노스케(大谷禎之介), 고마츠 요시오(小松善雄)의 사회주의 이론이 어소시에이션사회주의나 협동조합적 사회주의 이론으로 제시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일본 안의 논쟁의 맥락안에서 마르크스의 어소시에이션론을 소개하는 기초적인 작업에 해당한다.

목차

1. 들어가며
2. 공산주의의 또 다른 이름, 어소시에이션
3. 영국과 프랑스의 마르크스와 어소시에이션
4. 결론
참고문헌
영문초록

참고문헌 (23)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9-330-000319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