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문제제기 : 남북이 바라보는 문학과 광장
2. 4.19 광장에 대한 북한문학의 미적 전유 비판
3. 5.18 광장에 대한 북한문학의 미적 전유 비판
4. 6.10, 2016년 촛불 광장에 대한 북한문학의 전유
5. 반미 선전과 민족 공감 사이 : 북한문학의 ‘남조선 광장’ 전유 방식 비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광장의 시’와 ‘시의 광장’
청색종이
2022 .03
찢어진 광장이라고 쓸 때
자음과모음
2019 .12
광장 외 1편
시조시학
2018 .12
광장에서 집으로, 진짜 집으로
황해문화
2025 .03
혁명은 광장에서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문화과학
2017 .05
광장에서 만나는 새로운 세상
황해문화
2025 .03
광장을 넘어, 현장으로 : 어디에서 희망을 찾을 것인가
황해문화
2025 .03
공간과 민주주의 - 광장과 시민적 역량의 관계를 중심으로 -
환경철학
2017 .12
2016년 겨울, 그 광장에 우리가 있었다
인물과사상
2017 .03
참여 과잉 시대의 비-시민 정치와 광장의 탈구축
한국근대문학연구
2018 .10
광장을 구경하는 사람들 : 촛불집회에서 대중주체 형성의 현장 관찰
문화과학
2017 .05
[88호를 발간하며] 광장에서 시민혁명을 보았다
문화과학
2016 .12
광장에서 현장으로 연대의 힘을 이어가자
황해문화
2025 .03
광장에서 만난 평등, 서로를 돌보는 민주주의
황해문화
2025 .03
2000년대 소설에 나타난 광장의 장소성 연구
현대문학이론연구
2019 .01
최인훈의 『광장』에 나타난 잠재성 연구
우리말글
2023 .03
광장정치의 동학 : 6월항쟁에서 박근혜 탄핵 촛불집회까지
문화과학
2017 .03
북한문학의 미적 보편성과 정치적 특수성 - 비체제적 양식과 민중적 해석을 중심으로 -
반교어문연구
2015 .01
오월 광장을 생각하며
푸른사상
2022 .05
광장과 밀실에서
시조시학
2015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