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서론
2. 묘사의 기능과 공간의 중요성
3. 〈산촌여정〉에 나타난 ‘도시’/‘산촌’ 공간의 비유 양상
4. ‘도시/산촌’의 비유로 본 〈산촌여정〉의 공간적 의미
5. 결론
〈인용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읽기를 통한 묘사의 방법 고찰 — 이상의 <산촌여정>을 중심으로 —
현대문학이론연구
2017 .01
여정 외 1편
시조시학
2021 .08
이상과 박태원 문학에 나타난 동경 번화가
로컬리티 인문학
2017 .10
도시 담론들을 통해 도시와 문명 이해하기[서평] 고일홍 외(2014), 『사상가들 도시와 문명을 말하다』, 한길사, 410쪽.
인문논총
2017 .01
이상화 문학에 나타난 낭만주의의 기획과 자아완성에의 의지 -셸링의 자아 개념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
2021 .12
시조에 형상화된 산촌의 정서
시조학논총
2021 .01
도시의 색을 찾아서
월간에세이
2020 .02
조용한 도시
제3시대
2016 .07
악의 도시
시조시학
2016 .08
나는 걷고 싶은 도시에 살고 싶다
문학들
2019 .08
벽에 갇힌 도시
제3시대
2017 .05
봄은 도시에서 오는가
황해문화
2015 .03
눈먼 자들의 도시 외 1편
시조시학
2022 .12
성평등을 향한 여정
구약논단
2020 .09
이상의 성천 수필에 나타난 감각 정동과 그 의미
한국현대문학연구
2021 .04
참된 기독교를 향한 여정
신학과세계
2015 .12
도시의 자연
월간에세이
2018 .12
이상 시에 나타난 공간 표상 연구
우리어문연구
2023 .05
대상관계이론을 중심으로 본 작가 이상과 그의 작품세계
연세상담코칭연구
2016 .03
1980~90년대 한국 ‘도시시’의 미적 비판 방법론 연구
국어문학
2018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