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머리말
Ⅱ. 초창기 노래책의 특징
Ⅲ. 번안곡과 창작곡의 특징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시가 다시 노래가 되었을 때
창비어린이
2020 .09
아직 못 부른 노래
창비어린이
2018 .12
노래를 불렀지
푸른사상
2023 .06
‘近代性’보다 우선적인 것(priority over modernity) - 韓國語 口語體 詩의 完成과 노래의 發見
한중인문학포럼 발표논문집
2019 .11
노래처럼 지은 시 , 시처럼 지은 노래
창비어린이
2015 .12
들옥의 노래
수필미학
2017 .03
해방공간의 음악책 연구 :초등 음악책 <우리노래>의 발굴 및 소개
구비문학연구
2021 .01
꽃을 소재로 한 대중가요의 양상과 특징 : 1950년대 노래책 속 작품을 중심으로
구비문학연구
2020 .01
사람 사는 곳 어디에나 노래가 있고
창비어린이
2015 .09
노래를 품은 동시
창비어린이
2023 .03
해방기 김학성의 초등용 100곡집 『노래모음』과 노래의 정전화
한국문학논총
2021 .08
뉴뉴미디어에 나타난 「8호 감방의 노래」의 구술문화적 성격 및 전승연구 -원전 「선죽교 피다리」, 「대한이 살았다」를 중심으로-
인문과학
2024 .08
[작품론] 낮고 여린 것들을 위한 노래
시조시학
2017 .03
동그라미 그림 노래놀이의 변이(變異)와 전이(轉移) -돼지그리기노래와 곰돌이그리기노래를 중심으로-
민속학연구
2020 .11
노래의 기억
월간에세이
2025 .03
비의 노래
수필미학
2018 .03
A Study on the Semantic Interpretation of the Sea in French Songs
해항도시문화교섭학
2024 .06
한국민요에 나타난 자연·생명관과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성찰
구비문학연구
2020 .01
세상에 하나뿐인 노래
창비어린이
2015 .06
백창우 어린이 노래 운동의 아동문학적 성과 - 2000년대 이후 활동을 중심으로 -
아동청소년문학연구
2023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