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Book Review] 「나의 종이들」 : 종이 위에 새긴 화해 그리고 나
더스쿠프
2022 .06
[Culture & Event] 섈 위 아트 | 시각예술과 종이매체 : 감성, 종이의 미학
더스쿠프
2022 .03
[Culture & Event] 길은 너무나 길고 종이는 조그맣기 때문에展_구불구불 길 위에
더스쿠프
2021 .07
황금종이1
충북 Issue & Trend
2024 .06
지도와 정보통신 : 지도를 ‘보다’와 ‘읽다’
대한지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3 .06
종이책으로 공부해야 성적 오른다!
나침반 36.5도
2023 .10
종이 동물원
[KIIP] 한국지식재산연구원 도서DB
2018 .12
종이신문 독자 특성 및 차별화 전략
연구보고서
2018 .10
지역정보에 대한 종이매체와 전자매체의 유저빌리티 분석 -일본 지도이용 실태조사와 도쿄 후타코타마가와 사회실험을 통하여-
한국지적정보학회지
2020 .08
[데이터로 보는 세상] 종이책 안 읽는 독자…모두 웹소설로 갔네 외
매경이코노미
2022 .10
흔들림 없는 독자 충성도 “종이신문 발행 희망” 84.5% : 신문 독자 의식조사: 30년 뒤에도 종이신문 본다
신문과방송
2015 .12
왜 ‘지도의 날’을 제정해야 하는가
대한지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3 .06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 사례로서의 ‘종이 안 쓰는 날 프로젝트’를 통한 7R의 실현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5 .07
재난보도준칙은 종이 위에만 있다
관훈저널
2017 .06
[Special Report 4] : 설 연휴에 읽을 만한 책 14選 : 집콕시대, 종이책에 콕 빠지다
더스쿠프
2021 .02
7,364쪽 종이책의 변신, 한눈에 보는 한국의 미디어
신문과방송
2021 .05
조선시대 제주도 지도의 현황과 유형별 특성
제주도연구
2020 .01
“30년 뒤에도 종이신문 본다” : 신문 독자 인식 조사
미디어이슈
2015 .10
종이의 가변적 물성을 활용한 입체조형 수업 사례연구 -초등 예비교사 2학년을 대상으로 한 수업사례를 중심으로-
미술교육연구논총
2020 .01
네이버랩스 : 지도 없이 지도 만들다 외
더스쿠프
2024 .1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