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고고학이라는 용어와 그에 대한 이해도 이제 한국 고고학계와 역사학계에서는 어느 정도 익숙해진 것 같다. 그동안 중세고고학이라는 이름으로 그 연구의 필요성, 중세사학과 고고학의 소통과 융합을 강조해온 결과이다. 더욱이 한국 중세고고학 기초자료가 데이터베이스화되고 관련 연구 성과를 정리한 『한국 중세고고학 자료집성』이 간행됨으로써 중세고고학 연구가 활성화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었다. 분묘유적, 성곽유적, 사원유적, 도자 연구 중심으로 고고학적 연구에서 문헌사료 활용의 양상을 검토한 결과, 전체적으로 문헌 사료 활용의 빈도가 높지만, 성곽유적 연구에서 사료의 활용 빈도가 가장 높고, 분묘연구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는 물론 연구 분야에 따라 문헌사료 확보량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다. 중세고고학 연구에서 문헌사료의 활용방법은 사료를 먼저 제시하고 유적, 유물의 분석에 들어가는 유형과 분석과 해석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사료를 제시하는 유형이 있다. 문헌사료의 활용은 고고학 연구 분야에 따라 그 방법이 다르겠지만, 현황과 배경 서술에서 많이 활용되고, 해석의 단계에 해당하는 성격과 특징, 그리고 변화상을 조명하는 데에 관련 사료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중세고고학 연구에서 문헌 사료의 활용은 매우 중요하며, 역사학과 서로 소통하고 융합하는 것은 연구 성과의 질을 한층 높일 수 있는 방법이다. 그러나 문헌사료의 활용과 중세사학과의 통섭이 본래의 고고학적 연구방법에서 벗어나거나 왜곡하는 것으로 되어서는 안 된다. 문헌사료를 폭넓게 활용하는 것은 바람직한 것이라 하더라도, 문헌사료의 입을 빌어 말하는 것이 아니라 유적 유물 등 물질자료 스스로 말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문헌사료의 역할은 물질자료 스스로 말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조언하는 선에서 그쳐야 한다.
The term and understanding of medieval archeology is now somewhat familiar to Korean archaeologists and historians. It is the result of the emphasis on medieval archeology, the necessity of its research, mediation of medieval history and archeology, and its convergence. Furthermore, the Korean medieval archaeological data collection has been published and the results of the related research results have been published, thus creating the conditions for the medieval archaeological research to be revitalized. The number of medieval archaeological research results in Korea is 1,095 by 2011, and the number of research results for 6 years from 2012 to 2017 is 596. The research results of Korean medieval archeology seems to be led by the study of porcelain only by quantity. The next active area of research is the study of tombs. In the archaeological study, the utilization of the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 was examined in the research of tombs, castle ruins, temple ruins, and ceramics. Although the use of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 as a whole is high, the study of castle ruins has the highest frequency of use and the use of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 in the study of Grave Relies is relatively low.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s are often used to describe current status and background, and are actively using related diets to analyz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order to utilize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s effectively, it is first required to secure a large amount of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s of the Goryeo period, and to classify and sort them by field. Next, when using the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 it is necessary to constantly criticize the historical materials. In medieval archaeological research, the utilization of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s is very important, and communicating and converging with history is a way to enhance the quality of research results. However, the use of medieval texts and the mediation of medieval studies should not be deviated from or distorted from the original archaeological methods. Medieval archeology is not a medieval history but an archeology, and the purpose and method of research as archeology must always be maintained. Even if it is desirable to utilize a wide range of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s, it should be possible to talk about material artifacts of the relics, not the mouths of documents. The role of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s should be abandoned in a line that guides and advises the material data on its ow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