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카를 마르크스, 프리드리히 엥겔스와 러시아 농민 공동체: 이데올로기의 기원
2. 제2 인터내셔널과 러시아에서 농업 문제
3. 1905~1907: 이데올로기가 현실을 만나다
4. 반동의 시기: “프러시아” 스타일의 위로부터 혁명을 위한 스톨리핀의 시도
5. 러시아 농민들과 1917년의 농민 공동체, 그리고 이후
6. 5개년 계획에서 최종적인 붕괴까지
7. 결론
참고문헌
영문초록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 사회복지실천의 현실 재구성을 위한 패러다임 : 내러티브실천(Narrative Practice)의 미시-중시-거시 실천전략 - 고미영, 『지역사회를 위한 이야기치료』(공동체, 2017)
한국사회복지학
2018 .02
신동엽의 『금강』에 나타난 공동체 연구 - 동학농민운동을 중심으로
동학학보
2016 .01
근대 익산의 농업환경과 농민운동
지역사회연구
2020 .06
유럽 역사의 맥락과 러시아혁명: 100주년을 맞아 러시아혁명 다시 보기
월간 시대
2017 .11
현대사회에 존재하는 공동체의 여러 형식
사회와이론
2015 .11
농민권리, 식량주권 그리고 농민헌법
일감법학
2021 .01
전지구적 개방화 시대 새로운 농민층의 형성 : 농민의 관계와 생산·유통조직의 재구축
농촌사회
2019 .04
농민인권 논의와 실태 분석: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농촌사회
2018 .06
브랜드로서 전주동학농민혁명과 지속가능한 역사교훈여행의 과제
동학학보
2019 .01
생애사적 접근을 통한 동학농민혁명에 대한 지역민의 기억과 역사 인식
[Jthink] 전북학연구센터-전북학연구
2022 .04
1960년대 이후 태안지역 동학농민혁명 기념(선양)사업 분석과 현대적 의의
동학학보
2020 .01
10월 혁명 100주년, 러시아는 지금
관훈저널
2017 .12
러시아혁명과 꿈꾸는 자들의 의무
뉴 래디컬 리뷰
2017 .09
여성농민의 대안농식품 운동 실천과 농촌공동체의 재구성
농촌사회
2021 .10
농민수당, 농민기본소득, 농촌기본소득과 생산주의 패러다임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20 .12
연속혁명론과 1905년 러시아 혁명 : 최초의 논의를 중심으로
마르크스주의 연구
2017 .11
농민인권 논의와 실태 분석 :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17 .12
대안적 공동체론과 관련 조례의 공동체 개념화
서울도시연구
2017 .06
농민수당과 농민기본소득 : 사회의 변화에 대응하는 운동 다양화로 인한 긴장과 갈등
농촌사회
2020 .10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계급에 따른 전승자의 말하기 방식
동학학보
2018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