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들어가기
Ⅱ. 논의의 이론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실험 결과분석
Ⅴ. 중한 제2언어교육에 제시한 시사점
Ⅵ. 나오기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영어 시제의 기본 기능과 문장 내에서의 의미 실현
신영어영문학
2025 .02
相面豁免条件与述补结构的宾语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5 .11
현대중국어 조사 ‘得’에 관한 한국인 학습자의 오류 분석
중국어교육과연구
2017 .12
입력빈도가 조선어 련어습득에 미치는 영향 - 련결주의를 중심으로
중국조선어문
2024 .07
조선어학습에서의 모어전이연구 - 한어 모어자의 조선어 모음습득을 중심으로
중국조선어문
2024 .07
선빈이
수필미학
2015 .06
중국어 ‘V得A’와 ‘VA’ 구문의 인지모형 대조 연구
중국어문학논집
2023 .10
일본어 거절화행 양상 및 전략에 관한 고찰
일본어학연구
2018 .12
현대중국어 ‘A地V’와 ‘V得A’구문의 인지모형 비교 연구
중국학논총
2024 .03
韩国学习者汉语致使义“得”字句习得研究
중국언어연구
2022 .02
初級韓国人日本語学習者の誤用からみたテ形の習得様相
일어일문학
2017 .11
语言学理论在中国的研究现状与展望 -以配价理论、标记理论、认知理论为中心-
한중인문학연구
2015 .01
“A+着”的宾语
중국언어연구
2016 .01
고대시대 ‘得’의 문법화 경로 고찰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8 .11
'地'와 '得'의 사용조건
중국언어연구
2015 .01
현대중국어 ‘V-得’구문분석 및 동사분류체계 구축을 위한 통합적 연구
중국어문학논집
2015 .04
‘V/A+得+全+Nm+X’구문의 하위분류와 ‘全’의 ‘배경선정’기능 연구
중국언어연구
2017 .08
A Typological Account of the Mandarin Vowels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7 .11
Prototypicality and Markedness: A Study of [Subject+V1+V2ing] Passive Construction in English
새한영어영문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2019 .05
“好V”的不對稱現象與標記模式考察
중국어문학논집
2021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