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2017
1. 지금 왜, 어떻게 마르크스를 읽을 것인가
2. 근대 자본주의와 역사·제도적 조건
3. 근대적 소유의 특이성과 자본주의의 역사·제도적 조건
4. 법인자본주의와 자본주의적 소유의 진화: 사회적 자유주의로서 소유권 사상의 전환
5. 글을 마치며: 신자유주의하에서 소유라는 질문의 전환
참고문헌
영문초록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마르크스에게서 재생산 개념의 형성과 체계의 사고
마르크스주의 연구
2019 .05
자본주의의 역사·제도적 조건과 자본주의적 소유라는 질문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17 .12
마르크스의 대안적 소유개념
경제와사회
2015 .06
마르크스주의 현대자본주의론의 새로운 전개 : 평가와 전망
마르크스주의 연구
2017 .05
마르크스의 ‘세계’ : 개념의 형성과 수용 - 그리고 전망
마르크스주의 연구
2018 .07
시간을 둘러싼 투쟁은 마르크스 이해와 자본주의 이해의 핵심 : 류동민, 『시간은 어떻게 돈이 되었는가? - 마르크스 경제학으로 본 자본주의 사회의 시간 싸움』(휴머니스트, 2018)
마르크스주의 연구
2018 .08
새로운 마르크스-독해에서 무엇이 새로운가?: 새로운 마르크스-독해의 형성과 쟁점
마르크스주의 연구
2023 .08
마르크스의 ‘자동주체’ 비판 : 정치경제학 비판과 비판적 주체이론의 재구성
마르크스주의 연구
2017 .08
중국 자본주의의 특성과 발전 전망
지역과 세계
2015 .01
대안사회경제의 소유형식-역사적 사례 평가
사회경제평론
2016 .01
마르크스의 ‘미래사회’ 원리
인문사회 21
2023 .06
자본주의 비판의 다양성 : 정치적 자본주의, 관리자본주의, 카니발 자본주의
경제와사회
2023 .12
자본주의 비판과 민주주의 요구의 결합 : 1980년대 학생운동과 노동운동을 중심으로
경제와사회
2016 .09
국가자본주의론의 역사와 의미
마르크스21
2021 .07
얼룩덜룩한 자본주의에 대한 문화정치경제학 : 밥 제솝과 나일링 섬의 초학과적 이론 기획
경제와사회
2020 .06
자본주의 선언: 자본주의경제는 기업경제다
한국경제포럼
2021 .01
자본주의의 기원 : 16-18세기 유럽의 자본주의
유럽연구
2018 .05
자본주의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 변화에 따른 사회경제 시스템에 대한 교육방식 변화 연구
상업교육연구
2019 .01
새로운 마르크스읽기, 오래된 마르크스읽기 : 『각하는 마르크스』서평
마르크스주의 연구
2018 .02
플랫폼자본주의와 기본소득 : 마르크스주의 내부의 기본소득 찬반을 넘어서
마르크스주의 연구
2020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