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임태균 (서울대학교)
저널정보
한국라틴아메리카학회 라틴아메리카연구 라틴아메리카연구 Vol.30 No.4
발행연도
2017.11
수록면
37 - 61 (25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analysis examines changes in the welfare paradigm of Venezuela under the Chávez regime and the post-Chávez regime. The author argues that Venezuela, which firmly established the expansionist and universal welfare policy under Chávez, is now assuming a gradual but significant shift from the existing welfare paradigm under the regime of Maduro. After the failed experiments of neoliberal economic policy in the 1990s, Venezuela with the advent of Chávez rejected the neoliberal welfare paradigm adopted by most contemporary Latin American countries and established the state-led, universal welfare paradigm instead. However, since President Maduro assumed the presidency, Venezuela has shown a flexible attitude toward the selective welfare paradigm under the pressure of a deteriorating national economy. While still retaining the state-centered universal welfare paradigm at the forefront, Venezuela is partially and gradually accepting the selective welfare paradigm based on the reduced concept of welfare as a means of poverty reduction and for the sake of efficiency. Behind this change is the post-Chávez regime’s intention to intensify political anti-neoliberalism and secure Chavismo as a political institution, but at the same time to minimize the weakening of the populist character of Chavismo.

목차

ABSTRACT
들어가기
라틴아메리카, 신자유주의 그리고 복지 패러다임
베네수엘라, 신자유주의적 시도에서 차베스주의 복지 국가로
“미션” 프로그램과 차베스의 보편주의 복지 패러다임
포스트-차베스 복지 패러다임의 변화 : 선별적 복지주의의 확대
맺음말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950-001554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