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신혜 (HyupSung Univ.) 김창성 (HyupSung Univ.)
저널정보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KIEAE Journal KIEAE Journal Vol.17 No.5(Wn.87)
발행연도
2017.10
수록면
61 - 68 (8page)

이용수

DBpia Top 0.5%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최근 2년간 이용수 순으로 정렬했을 때
해당 논문이 위치하는 상위 비율을 의미합니다.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4)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Purpose : Ando Tadao has his own unique architectural conception to reproduce natural view on site , and he continues to create new architecture without regarding to any principles. Ando Tadao experiments his imagination through the museum architecture, starts organization of space with light, and completes organization of space with light at once. Methods : The research works as follows: 1) Analyzes the meaningful characteristics showed in his architectural works. 2) Analyze organization of space and use of light in museums designed by Ando Tadao. 3) Selecte his representative museums in Korea and Japan, and then analyze space composition and light use through literature study and field survey. Result : The organization of museum space by Ando Tadao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light. Light designed by Ando Tadao represents unique architectural varieties such as cushioning space, moving line, spatial characterization, and natural influx.

목차

ABSTRACT
1. 서론
2. 안도 다다오의 건축적 특성
3. 안도 다다오 박물관 건축의 공간구성
4. 안도 다다오의 박물관 사례분석
5. 결론
Reference

참고문헌 (12)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610-001410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