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전국 생활체육 동호인들을 대상으로 생활체육 참여 소비지출 규모를 파악하여 생활체육 참여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2012년 국민생활체육회 전체 등록 동호인 3,081,448명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2012년 5월부터 11월까지 편의표본추출법에 의해 국민생활체육회에 등록된 총 64개 종목의 3,360명의 등록 동호인들을 대상으로 자기평가기입법을 통하여 과거 1년 동안 생활체육 참여 관련 소비지출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2012년도 동호인들의 생활체육 참여 관련 1인당 소비지출 규모는 연간 3,540,101원으로 나타났다. 이 중 생활체육 활동 소비지출은 2,635,591원, 스포츠 용품 소비지출은 535,845원, 대회참가 소비지출은 368,665원이었다. 2012년도 한국은행의 산업연관표를 사용하여 산업연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2012년도 전체 등록 동호인들의 생활체육 참여로 인한 경제적 파급효과는 생산 유발효과 19조 2,421억 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7조 4,466억 원, 고용 유발효과 94,563명으로 나타났다. 생활체육 참여의 경제적 파급효과 중 스포츠 관련 산업에 미치는 효과가 44~49%이며, 스포츠산업 이외의 산업에 미치는 효과가 51~56%에 이를 정도로 다른 산업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conomic impacts of sports participation of sports club members by estimating the annual expenditure for sports participation. Regarding the 3,081,448 sports club members in 2012 as a total population, the last annual expenditure for sports participation of 3,360 registrated sports club members selected by the convenient sampling method from 64 sports was surveyed by the self-administration method. As a result of the survey, per capita annual expenditure of sports club members was \3,540,101. The per capita annual expenditure for sports activities was \2,635,591, for sports equipment was \535,845, and for sports event participation was \368,665. As a result of the input-output analysis by using the 2012 input-output table from the Korea Bank, the total induced production was \19,242.1 billion, the total induced added value was \7,446.6 billion, and the total induced employment was 94,563. Out of the total induced economic impacts, the induced economic impacts on the sports industry was 44~49% and the induced economic impacts on the non-sports industry was 51~56%. Thus, sports participation induced considerable economic effects on non-sports industry as well as on sports indu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