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2022
Ⅰ. 머리말
Ⅱ. 관개 수리 개발의 요건
Ⅲ. 지방관의 관개 수리와 褒貶
Ⅳ. 관개 수리의 현실적 제한
Ⅴ. 맺음말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唐代 灌漑 水利 硏究 ― 地理的 特性과 地方의 開發 樣相을 中心으로 ―
동양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22 .01
당대(唐代) 사찰음식과 다도의 연관성에 관한 논의 - 선(禪)의 형성과 관점을 중심으로? -
차문화산업학
2021 .01
植民地朝鮮における日本人大地主と河川水利用秩序の改編 : 參禮伊藤農場の事例
한일관계사연구
2015 .08
전통적 水利시설의 근대적 변동양상— 漢灘江水系 鐵原・漣川지구의 사례 —
사림
2021 .01
唐代 약재 산지 및 시장
신라사학보
2022 .08
주저하는 텍스트 : 필사본에 담긴 唐代 중국의 삶과 문화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8 .11
唐代 書僧 高閑의 書藝와 역대의 평가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8 .11
唐代 중기 洛陽 지역 詩會: 詩會史적 의미를 중심으로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6 .11
출토문서를 통해 본 唐代 西北 지역의 水利 行政
중국고중세사연구
2022 .11
唐代 外國使節 관리와 對外關係의 實際
동양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6 .01
자연재해[水害]와 식민지 개발 프로젝트― 臨津江하류 兩岸[坡州ㆍ長湍]의 ‘不良水利組合’ 사례
대동문화연구
2024 .09
인권의 인간학 : 상호주관성인가 관개체성인가?
문화과학
2019 .11
(번역논문)唐代의 錄囚制度 論析
동국사학
2016 .01
청동기시대 논 경작지의 입지 환경과 관개 체계 검토
한국청동기학보
2021 .01
19세기 중엽 영해부 은보(隱洑)를 둘러싼 촌락 간의 분쟁양상과 그 의미
한국사연구
2021 .12
唐代 文人 네트워크 硏究 — 『太平廣記』 문인여행 故事를 중심으로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9 .04
[수리생물학] 수리생물학(Mathematical Biology)
지식의 지평
2018 .11
전통수리시설의 특징과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농업유산 선정 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무형유산
2022 .06
고구려ㆍ백제 유민사 연구의 또 다른 시각
사학연구
2015 .09
수리(水利) 문화유산과 전통지식
무형유산
2023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