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표지]
[메가 스포츠 시설 최대 쟁점은 사후 관리방안]
IOC “올림픽 유치도시 선정 시 지속가능성·올림픽유산 활용 적용”
도쿄도, 기존시설 활용 강화 위해 2020 올림픽 건설계획 재검토
[도쿄 2020 올림픽 개최방향은 참여·계승]
일본올림픽조직위원회 내에 문화교육위 등 5개 전문위원회 설치
도쿄 2020 올림픽 개최 기본계획은 대회 비전 등 7장으로 구성
[세계 제1의 도시·사상 최고 올림픽 ‘두 토끼 잡기’]
올림픽 준비 기본방향은 작년 수립된 도쿄도 장기비전이 근간
고도로 발달된 이용자 중심의 도시 인프라 정비에 ‘우선순위’
미래세대도 함께 누릴 수 있는 올림픽 유산 계승대책도 마련
[2020 올림픽 개최거점은 헤리티지존·도쿄베이존]
헤리티지존: 국립요요기경기장 등 64년 올림픽 사용시설 활용
도쿄베이존: 3개 지역 구분… 배구경기장·체조경기장 등 신설
올림픽 신규시설 대회 후 문화·레저활동 등 다목적 활용 모색
선수촌: 판상형·초고층타워도 배치… 대회 후 주거지로 재활용
올림픽 경기장 대상 자체 환경영향평가 ‘환경의 지속적 고려’
[‘세계 제일 거점으로’ 메가 이벤트·현행제도 연계]
도쿄를 국제 비즈니스 거점으로 육성하려고 국가전략특구 지정
국가전략특구는 국제금융센터 설립 등으로 경제 활성화 도모
토라노몬 지구: 외국인기업 유치에 따른 경제효과 조기 발현 기대
야예스 지구: 도쿄역 앞 교통결절기능 강화, 환경부하 저감 추진
[메가 스포츠 이벤트, 경제효과보다 지속가능성 고려]
도쿄올림픽, 런던 올림픽유산 본보기로 계획 초기부터 지속가능성 검토
국내 메가 스포츠 이벤트도 도시자산 활용한 사회적 패러다임 반영 필요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2020 도쿄올림픽과 문화프로그램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19 .12
도쿄에서 바라본 한일관계
관훈저널
2018 .09
[일본] 일본 방송계, 도쿄 올림픽 앞두고 신기술 선보여
신문과방송
2017 .09
2020년 도쿄올림픽과 도쿄 베이 존- 부동산 주도 도시재생의 궤적
지역사회학
2020 .01
[일본] 2030년 도쿄권 도시철도의 목표
국토
2025 .02
일본 도쿄에서 만난 미래 한국 도시의 모습은
국토
2017 .01
[일본] 도쿄 올림픽 · 패럴림픽을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 2020 행동계획
연구자료
2020 .02
올림픽의 남북한 공동 개최: 신화와 현실
정치정보연구
2019 .10
정부의 ESG 인프라 확충 정책 방향
월간 KIET 산업경제
2022 .03
The Political Effects of the Olympics on Politics: National Legacies Defined Through Sport
관광경영연구
2018 .01
도쿄대학에서 보낸 과거와 미래
관훈저널
2020 .12
1964년 도쿄올림픽과 도시개조
사회와역사
2016 .01
[연재소설 | 복거일 소설 ‘이승만’] 제1부 광복 제25장 도쿄
월간중앙
2023 .04
[Global Briefing] 도쿄올림픽 안전성 논란_성화 봉송지부터 ‘아찔’
더스쿠프
2020 .03
[코로나 시대 첫 비대면 올림픽 리뷰] 조용하고 불편하고 이상했던 올림픽
관훈저널
2021 .09
[김규식 특파원의 일본열도 통신] 도쿄올림픽 강행의 뒤에는 ‘돈’과 ‘정치’ : 올림픽 성공으로 지지율 올려 가을 총선에서 ‘재집권’ 노림수
매경럭스맨
2021 .07
[도쿄 24-08호] 일본 모바일콘텐츠 산업 동향
[KOCCA] 해외 산업동향
2024 .08
[illustration] 김희민의 일상여행 드로잉 | 도쿄_도쿄의 한적한 보물
더스쿠프
2019 .04
뉴노멀시대의 도시 그린인프라 계획모형 제안
국토정책 Brief
2022 .07
[코로나 시대 첫 비대면 올림픽 리뷰] 팬데믹 시대에 열린 올림픽
관훈저널
2021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