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제가 부활한 이후 ‘지방’은 본격적으로 한국정치학계에서도 하나의 주제영역으로 등 장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지방’은 정치적인 공간으로 충분히 규명되지 못했고, 몇몇 훌륭한 연 구 성과에도 불구하고 지방정치 연구분야가 독립적으로 발전하고 있는지는 의문스럽다. 본 논 문은 ‘한국정치학회보’와 ‘21세기정치학회보’의 지방정치 논문들을 중심으로 연구현황과 경향을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두 학회에 개재된 논문들을 바탕으로 볼 때, 지방정치에 대한 정치학적 연구들은 지방정치를 ‘문제해결과정’으로 축소하는 경향, 지방과 국가를 별개의 공간으로 전제 하는 경향, 분석적이기 보다 규범적 접근에 경도된 경향, 지방선거, 의회, 정당 등 정치 제도 에 치우친 경향, 협소한 지역주의 연구 경향 등을 보이고 있다고 파악하였다. 이에 저자들은 지방이 처한 구조적 조건인 ‘국가’와 국가의 통합의 대상이자 긴장의 축인 ‘지방’의 구조적 연관 성 속에서 지방정치연구가 전개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특히 후기발전주의 국가의 경로의존성 과 신자유주의적 통치가 혼재된 지방공간에서 전개되는 정치적 담론과 실천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는 통해 한국 정치에 대한 정치경제학적, 정치사회학적 연구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 다. 또한 미성숙한 것으로 폄하되었던 지방의 시민사회를 규범적 등급화 없이 분석적으로 연구 하기 위해 ‘지방’을 문화정치가 이뤄지는 공간으로 상정하고 지방 거주민들의 정체성, 여론, 정 치적 동원의 방식 등을 연구해나갈 것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지방 정치를 움직이는 지방 사 회의 역학구조를 구체적으로 규명해나감으로써 그간 정치제도, 엘리트에 집중되어 있는 지방정 치 연구의 공백을 메울 수 있을 것이다.
In spite of increasing academic works of local self-governance in South Korea, 'local' space has been insufficiently explored by political scientists, while leaving much of discussions to scholars of public administration, sociology and anthropology. This preliminary study aims to evaluate current status of research on local politics in Korea through examinations of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Political Science Review and the 21st Century Political Science Review for the last fourteen years. We found that topics of existing research on local self governance have excessively inclined to problem solving methods, conceptual demarcation between locality and state, normative attitude, predominant interests in local political institutions and non-contextualized analyses on regionalism. Instead, authors suggest that research on local self-governance should be expanded toward contextualizing locality in the overall changes of the nature of state, while being attentive to changing state's strategy to maintain its governmentality in the post-developmentalist e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