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대회자료
저자정보
井上さやか (나라현립 만요문화관)
저널정보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학술대회 2016년 동아시아비교문화국제회의 국제학술대회
발행연도
2016.8
수록면
3 - 13 (11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중국 商나라 시대에 이미 지배자의 정원으로서 苑池가 都城의 주요한 구성요소였던 것이 고고학적으로 확인되었고, 唐代에 이르러 그 양식이 완성을 이루었다고 한다. 7~8세기의 신라나 발해, 야마토(大和)의 苑池도 그 影響을 받았다. 최근에는 한국의 경주에 있는 안압지, 그리고 용강동 苑池와 일본 나라(奈良)현에 있는 고대 苑池를 고고학적으로 비교 연구하는 일도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일본 최고의 正史라 불리는 『日本書紀』(720年成立)의 기술에는 文飾 등도 있지만, 이러한 기술이 모두 사실이라고는 할 수 없다. 그러나 최근의 발굴 조사에 따르면 이러한 기술 내용이 고고학적으로 상당한 신빙성이 있다는 예가 있다. 그 하나가 斉明天皇(在位655~661) 시대에 造営되었다고 생각되는 아스카(飛鳥)의 苑池 遺構(나라현 아스카촌)이다. 天武天皇 14년(685) 11월 戌申条「幸白錦後苑」과 持統天皇 5年(691) 3월 丙子条「天皇覧公私馬於御苑」등의 『日本書紀』의 기술은 이 苑池를 가리킨다고 보여진다.
본 발표에서는 이러한 고고학과 문헌사학의 성과를 근거로 하면서 詩歌에 나타난 苑池의 표현을 예로 들어 学際的인 고찰을 하고자 한다. 특히『文選』과 『玉台新詠』,『懐風藻』와『万葉集』의 苑池에 대한 묘사를 비교 검토한 후, 고고학과는 다른 시점에서 고대 동아시아에 있어서의 苑池의 전파를 제시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禁園을 의미하는 「上林 (苑)」의 어휘에 착목해 보면,『文選』과『玉台新詠』에서는 궁정의 정경묘사로서 노래한 것이 많은데 비해, 일본 최고의 한시집인『懐風藻』에서는 「上林賦」의 영향을 받아 神仙境의 표현으로서 사용되고 있음을 지적할 수 있다. 한편, 和歌集인『万葉集』에는 「上林」이라는 한어 자체가 등장하지는 않지만, 「島」(州) 가 노래되어 있다. 각 나라의 문화에 있어서의 苑池의 양식적인 변용은 고고학적으로 확인되고 있으며, 일본적인 변용으로서는 모래톱을 多用해 水深이 얕다고 하는 점을 들 수 있다. 시가표현에서도 고고학적으로 확인되고 있는 상황과 괘를 같이한다고 말할 수 있다.

목차

1. はじめに
2. 「庭」「園」「苑」「嵨」
3. 東アジアの中の飛鳥京苑池
4. 詩歌表現としての「苑」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7-004-001885257